먼저, 서울심리지원센터의 생애 발달주기별 지원사업과 정서적 취약 계층 지원사업, 평생 교육 지원사업, 직장인 지원사업, 유관 기관 연계지원 사업, 지역사회연계 지원사업 등 ‘심리지원센터 발전방안’에 대하여 이형초 소장(미디어중독 연구소)의 발표가 있었으며, ‘재가노인복지,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국의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노인복지 환경변화에 따른 노인돌봄서비스 사업으로 재가노인복지사업의 중요성에 대하여 김지영 소장이 사례를 통해 제안함으로써 포럼 참여의원들과 외부 전문가들로부터 노인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숙의가 이어졌다.
교육보건복지연구 소위원회 위원들은 포럼 개최 후 서울심리지원센터(송파구 장지동 소재) 주제별 강의장과 상담 시설을 둘러 보았으며, 서울시민의 정신건강 예방 및 건강한 성장과 행복실현을 적극적으로 돕고 있는 데 대한 노고를 치하했다.
김영한(송파 제5선거구)분과장은 최영수 정책연구위원회 위원장을 대신한 인사말씀을 통해 “오늘 포럼은 시민들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심리지원센터의 역할 증대와, 고령화 사회 재가복지를 통한 노인정책 패러다임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며, ”정책위원들의 이러한 작은 노력들이 서울시민의 행복한 삶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격려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