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균형발전 위해 2도심(안양, 평촌), 6지역중심 설정
경기 안양시의 ‘2030년 도시기본계획’이 최종 확정돼 주요 개발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도시기본계획은 시의 미래상과 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최상위 계획이다. 공간계획 뿐만아니라 인구와 토지이용, 교통, 환경 등 부문별 모든 계획을 포함한다.12일 안양시에 따르면 통계청의 추계인구와 제3차 수도권 정비계획을 고려해 2030년 시의 목표 계획인구를 기존 2020년 도시기본계획대비 1만 5000명이 감소한 65만 5000명으로 설정했다. 현재 안양시 인구는 59만 8000여명(4월 30일기준)이다. 시가 성장형 도시에서 성숙형 도시로 전환됨에 따라 외연적 성장보다는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이미 개발된 시가화 형성지역 정비를 위한 시가화용지는 22.132㎢, 도시발전에 필요한 개발공간 확보를 위한 시가화예정용지는 0.506㎢, 보전용지는 35.822㎢로 확정했다. 안양교도소 부지는 지식산업과 문화여가, 주거 등 복합용지로 변경돼 개발된다. 농림축산검역본부 이전 부지도 주거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변경, 행정·문화·비즈니스의 중심축으로 복합개발 될 전망이다. 도시 미래상은 ‘창의·융합의 인문도시 안양’으로 정하고 시민일자리 창출, 인문산업 발굴과 육성 등 분야별 6대 핵심목표를 설정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