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도 역류질환, 심장질환 오해도
가장 큰 원인은 ‘비만’이다. 임신 등으로 위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도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카페인, 청량음료, 술, 과식, 기름진 음식, 흡연도 영향을 미친다. 최정민 상계백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이런 음식은 하부식도 괄약근의 기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위산 분비를 촉진시킨다”고 지적했다. 야간에 과식이나 과음을 반복하면 위 기능이 떨어져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위에 계속 남아 위액이 역류할 수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쓰림과 위산 역류 증상이다. 가슴쓰림은 대개 명치 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것처럼 가슴뼈 뒤쪽이 타는 듯 아픈 증상을 의미한다. 일부 환자는 이것을 ‘화끈거린다’고 표현한다. 가끔 위산이나 위 속에 있던 음식이 입까지 역류하면 쓴맛을 느낄 수도 있고, 식사 후에 쓰린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증상은 낮보다는 밤에 더 심해지는 특징이 있으며 눕거나 몸을 앞으로 구부릴 때 심해진다. 물을 마시거나 제산제를 복용하면 완화된다.
# 발병 확인은 식도 산도 검사로
발병 여부를 확인하려면 24시간 식도 산도(pH)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센서가 있는 가는 관을 코를 통해 식도에 넣고 24시간 동안 휴대장치를 통해 산도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검사하는 동안 환자는 일상생활도 할 수 있다. 최 교수는 “환자의 절반은 식도염이 없어 내시경 검사만으로는 병을 완벽히 진단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를 4~8주간 복용하면 역류증상이 호전되고 식도염도 대부분 치료할 수 있다. 매일 아침 식전 1시간 전에 복용해야 하고 식후 복용하면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7-07-03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