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창원 서울시의원이 24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세이프약국 활용방안 공청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
먹는 약이 너무 많아 서로 상충 작용을 일으키는 경우, 집에 안먹는 약이 많은 경우 모두 약국을 찾아 해답을 얻을 수 있는 이용 편리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이다. 약사가 상담을 통해 “내가 먹는 건강기능식품, 각종 의약품, 나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 등 물음에 대한 해답을 제공한다.
세이프약국의 시범사업 5년차를 맞아 적극적인 세이프약국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 공청회에는 박혜경 연구교수(성균관대 약학대학)가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한 약국활용의 현주소’ 주제 발표를 맡았다. 박 교수는 △약국보건서비스 △공공, 민간 파트너쉽 형성 △질병위험군 효과적 중재 세 가지를 아우르는 세이프약국의 취지가 ‘다함께 누리는 시민 건강 증진’임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등록환자 대상 포괄적 약력관리서비스 △약물부작용 모니터링 △금연희망자 발굴 및 관리 △Health Literacy △자살예방 게이트키퍼라는 세이프약국의 5대 역할 및 기능을 설명했다.
패널로는 권영희 정책본부장(서울시약사회), 윤명 사무총장(소비자시민모임), 유대규 사무관(보건복지부), 김경우 약사, 김창원 의원, 이복근 의원이 참여해 세이프약국의 활용 사례 및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제시했다.
김창원 의원은 “시민들이 세이프약국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눈에 띄는 표식을 사용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했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김 의원은 “개인정보 관리 등의 문제와 함께 참여하고 성심성의껏 상담하는 약사들에 대한 현실적인 보상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또 “시범사업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은 사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도 한 원인인 것 같다”며 “세이프약국 사업이 안정적이고 현실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조례 제정 등과 더불어 사업을 위한 심도있는 고민을 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