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코로나 대응책 논란
18일 해양수산부가 해수욕장에 가로·세로 4m 이상의 구획을 정해 현장배정제로 운영한다고 밝힌 가운데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 백사장에서 피서객들이 해수욕을 즐기고 있다. 부산 연합뉴스 |
해양수산부는 18일 ‘코로나19 예방 및 확산 방지를 위한 해수욕장 운영대응 지침’을 발표하고, 부산 해운대·광안리·송도·다대포·송정, 강원 경포·낙산·속초·삼척·망상·맹방·추암·하조대, 울산 일산·진하, 경북 고래불 등 16개 해수욕장을 현장배정제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백사장에 가로·세로 각 4m 이상의 구획을 정하거나 파라솔을 설치해 일련번호를 부여한 뒤 선착순으로 배정하겠다는 것이다. 구획당 4명 정도의 일행이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해운대의 경우 전체 백사장 30%만 현장배정제로 운영해 2000개의 파라솔을 설치할 예정이다. 파라솔당 4명씩 들어간다고 가정할 경우 8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데 극성수기 하루 방문객이 최대 29만명인 걸 감안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부산시는 나머지 70% 백사장은 자유롭게 이용토록 할 방침인데, 파라솔 배정을 받지 못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모여 오히려 더 밀집될 우려가 있다. 파라솔 배정을 위해 이른 아침부터 장사진을 치며 대기하는 풍경이 연출될 수도 있다.
앞서 해수부는 전국 해수욕장에 현장배정제 시행 가능성을 타진했지만 조수간만의 차가 커 백사장 면적이 수시로 변하는 서해안 지역 지자체는 도입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서울신문 6월 11일 자 12면> 이에 동해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현장배정제가 시행된다.
해수부는 또 전남 여수와 목표, 신안군 등 14개 해수욕장에 대해선 ‘바다여행’(www.seantour.kr)과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예약을 받는 시스템을 처음 도입한다. 이와 함께 바다여행과 주요 포털을 통해 전국 해수욕장 혼잡도를 30분 간격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신호등’ 서비스도 제공한다. KT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해수욕객 수가 적정 이용객의 100% 이하면 초록색, 100~200%는 노란색, 200% 초과는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보령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여수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20-06-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