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번 자리는 코로나19로 각종 수영대회가 없었던 상황에서 경기체고 2021학년도 입시요강이 원서 접수 3개월을 앞두고 발표된 후 수영 경영종목의 입학전형 기준이 전년도와 다르게 변경되면서 불안감을 갖고 있는 학생과 학부모가 제기한 민원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경기체고의 경우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에 근거하여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실시 3개월 전까지 공고할 수 있고, 특수목적고의 경우 학교에서 계획한 입학전형을 총괄부서 검토 전에 관련 사업부서를 통해 검토하는 절차를 통해 신중을 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정윤경 의원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경우 실시되기 수년 전부터 실시계획을 안내하고 있는데, 이는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과 학부모의 예측가능성과 신뢰보호를 위한 것”이라며 “체고의 경우 원서접수 3개월 전에 변경되어 공개되는 입학전형은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이 예측하여 준비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으며, 학교의 입장보다 학생과 학부모의 입장에서 행정을 해 나간다면 충분한 사전예고가 있었거나, 학부모가 예측할 수 있는 안정적인 입학전형을 운영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윤경 의원은 “우선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경기체고 입학전형요강을 운영해야 할 경기체고 입학전형위원회가 전문가, 학부모 등의 외부위원 없이 자체 인원만으로 구성되어 운영되고 있는 것 자체가 문제”라며 “특수목적고의 경우, 경기도 고등학교입학전형을 총괄하는 곳에서 입학의 투명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고등학교입학전형위원회에 전문성을 갖춘 사람을 함께 구성하게 하는 등 도민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