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진연 의원은 “청소년수련원은 활동력을 요하는 기관으로 찾아오는 청소년들이 급감하며 코로나19로 인해 많이 정체되어 운영 자체가 너무나도 힘들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직접적인 활동력을 요하는 기관임으로 코로나19의 장기적 상황에 대한 심도있게 고민하지 않는다면 ‘청소년수련원’의 존재에 대한 의문으로 기관 자체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청소년수련관, 문화의집 등의 경우는 지역 내에 청소년들을 직접 만나는 프로그램 기획하고 있으나, 청소년수련원의 경우는 공간 및 시설활용을 통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기에 타 기관보다도 운영 및 존재 자체에 대한 문제점이 부각될 수밖에 없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이어 “경기도 청소년수련시설 조례에는 청소년수련원의 사업을 총 8가지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를 모두 제대로 운영하고 있는 가라는 의문이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계속 해당 사업을 이어갈 수 있는 가라는 걱정도 있다”며 “청소년수련원에서는 예산을 편성해서라도 코로나19 이후 e스포츠 등과 같이 수련원이 가진 장점을 어떻게 온라인 등으로 접목시키고, 대책과 정책 등 운영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청소년들이 가정 내에 머무는 시간은 많아졌으나, 활동력이 적어짐으로 인해 수면시간이 감소되고, 컴퓨터 앞에만 있는 시간이 길어져 우울증이 증가하였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청소년들 우울증의 가장 큰 원인은 활동력 저조로 인한 것으로 청소년수련원을 단순히 집단시설이 아닌 누구나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소규모 청소년 힐링 공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의회와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