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교통공사의 물품보관함(T-Locker) 사업은 기존에는 임대사업자가 사업성 있는 역 위주로만 운영해 많은 민원이 제기 되었으나 공사 직영체제로 탈바꿈하면서 보관함의 크기는 더욱 커지고 요금도 내려가는 등 많은 시민들이 애용했다. 작년에는 한 달 이용 건수가 10만 건을 돌파하는 등 많은 시민들에게는 대표적인 편의시설로 주목 받았다.
하지만, 현재는 코로나 등 여파로 인해 지하철 물품보관함 이용자가 급감하고 있다. 올해 1월에는 87,567건이었지만 9월 기준으로는 41,076건으로 이용 건수가 절반 이상 줄었다. 현재 물품보관함은 공사의 자회사인 도시철도엔지니어링이 운영하고 있어 적자를 그대로 떠안게 되는 구조다. 지하철을 타는 시민들이 가장 즐겨 이용했던 대표 편의서비스가 이제는 사업 존폐를 걱정하는 처지가 된 것이다.
현재 지하철 1~8호선 등에 5,557개 물품보관함이 설치되었지만 이용자가 없어 방치되면서 관리문제가 발생하는 등 골치 덩어리가 되어가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물품보관함 사업이 단순한 소형택배 기능만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를 기반으로 서울형 도심 물류서비스로 확장한다는 중장기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물품보관함(T-Locker), 유인보관소(T-Luggage)를 통해 택배를 접수하고 배송하는 생활밀착형 물류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확장해 서울형 도심 공동물류체계라는 사업으로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물품보관함 사업부터 난관에 봉착한 것이다. 물품보관함의 이용자 급감에 대한 해결책이 나오지 않으면 서울형 도심 공동물류체계라는 미래 핵심 사업까지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상황이다.
추 의원은 “물품보관함 사업이 존폐위기에 직면했다. 이용자가 급속히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도 고민이 필요하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서울교통공사의 만성적자를 해결할 수 있는 물류플랫폼 사업자체가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이다. 이제는 소형택배 서비스 보다는 서울 지하철의 인프라를 통해 택배 시장에 혁신을 일으켜야 한다. 소형 택배 정책을 뛰어넘어 서울형 도심 공동물류체계를 만들기 위한 로드맵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