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회 제공 |
이날 김규창 의원은 “경전철 내 사고 유형을 보면 총 19건으로 에스컬레이터 전도 사고율이 차지하는 비율이 상당하다”며 “기흥역과 운동장역의 경우 에스컬레이터 전도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고 원인을 승객의 부주의 탓으로만 돌릴 것이 아니라, 에스컬레이터 전도사고 방지 및 일자리 창출 차원에서 지역의 노인 등을 현장 관리 인력으로 상시 배치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에 남동경 철도항만물류국장은 “안전관련 용인시의 경전철의 경우 스크린 도어를 설치할 예정”이라며 “상시 배치 인력 부분은 市의 사무인데 예산지원과 관련하여 해당 시의 재정 등을 검토한 후 방안을 모색해 보겠다”고 답변했다.
김 의원은 “경전철 안전과 관련해 경기도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서 예산 지원 및 시와 업무연계 방안을 마련하고, 향후 경기교통공사가 경전철을 운영할 것을 대비해, 안전문제에 대해 더욱 각별하게 신경써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단선으로 진행되고 있는 여주∼원주 수도권 전철에 대해 정부가 복선화 추진을 위한 타당성 재조사를 확정했는데, 재조사 기간만 최대 1년 가까이 걸릴 전망이어서, 전철 개통 시기를 앞당기는 일이 관건”이라며 “경기도에서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