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의원은 세종문화회관의 서울시예술단(9개 예술단으로 구성)은 세종문화회관이라는 초대형 하드웨어에 가장 핵심적인 콘텐츠를 공급하는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조직 내에서 예술단이 차지하는 위치는 미미한 것에 유감을 표했다.
또한 오 의원은 40여년에 역사성과 다양한 장르의 상주예술단을 갖춘 대한민국의 대표적 예술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시 예술단 고유의 대표 레파토리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9개 예술단 전체를 아우르며 예술적 성과를 책임지고 예술단간 협업을 총괄할 수 있는 책임자, 즉 ‘총예술감독’제 도입을 검토 요청했다. 현재 서울시 예술단은 예술단별로 단장이 방향성이나 레퍼토리 운영을 각각 따로 책임지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각 예술단별로 단장이 바뀔 때마다 작품의 성향이 달라지고, 예술적 성취의 편차가 크게 나는 문제를 지적했다.
오 의원은 세종문화회관 서울시예술단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만들기 위해서 총예술감독 선임, 예술단 공연 기획인력 확충 등을 통한 작품개발 및 운영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적 상황을 대비해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공연예술의 새로운 방식의 비대면 온라인 공연 기획 등에도 힘써 세종문화회관과 서울시 예술단이 서울시민의 사랑을 받을 뿐 아니라 대한민국 공연예술계를 선도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해주기를 당부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