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98회 서울시의회 정례회 서울교통공사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정진철 시의원(더불어민주당, 송파6)은 “12억 원을 들여 도입한 고가의 특수차 장비를 고작 700만 원의 수리비 분쟁으로 1년 간 사용 못 하고 있는데 터널 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중요한 용도를 감안했을 때 자체 비용으로 우선 수리하고 구상권을 행사했어야 했다”며 “이렇게 방치한 것은 공공성을 망각한 무책임한 관리의 행태”라고 김상범 서울교통공사 사장을 질타했다.
정 의원은 “고압살수차는 물만 사용해야 하나 기술력이 확인되지 않은 업체의 주장만 믿고 비산먼지억제제를 물과 혼합하여 살포하다 고장났다”면서 “고장 발생 시 업체의 배상약속만 믿고 충분한 검토 없이 비산먼지억제제 사용을 허용했으며 결국 분쟁이 발생”했음을 지적했다.
또한, 정 의원은 “스위스에서 70억 원에 도입한 레일연마차의 경우도 지난 8월부터 현재까지 수리를 못 하고 있다”며 “조속히 가동될 수 있도록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김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지적 사항에 대해 조속히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교통공사가 도시철도 유지보수를 위해 운영하고 있는 레일연마차, 고압살수차, 분진흡입차 등 특수차는 고가의 비용이 드는 것과 달리 정품부품 조달 문제, 외국산 문제 등의 이유로 한 번 고장 시 수리까지 수개월이 소요되고 고액의 수리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