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동 4, 5번지‘디지털 의료·바이오 복합시설’,
중앙동 6번지‘시민광장’조성
정부가 4000가구 주택공급을 계획하고 있는 정부과천청사 일대 전경. 청사 내 일부 부지와 청사 앞 유휴지에 각각 2000가구 공급을 계획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중앙동 4, 5, 5번지. 과천시 제공 |
김 시장은 대안에 대한 시민 의견을 수렴해 정부와 협의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먼저 ‘과천과천지구, 자족용지·유보용지 일부 주택용지 변경, 주거용지 용적률 상향으로 2000가구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또 ‘교통 여건 양호한 지역’에 청사 앞 유휴지에 들어설 2000가구 대체 용지를 확보하는 안도 고려 중이다.
대신 정부가 2000가구 공급을 계획하고 있는 청사 앞 유휴지 3필지 중 ‘중앙동 4, 5번지에 디지털 의료·바이오 복합시설’을, 중앙동 6번지엔 시민광장 조성안을 계획하고 있다. 김 시장은 “청사 유휴지인 중앙동 4, 5번지에 디지털 의료 및 바이오 복합시설을 조성하는 것은 과천과천지구에 줄어드는 자족기능을 청사 유휴지를 통해 확보하는 안으로 과천시 전체 자족기능 총량은 줄어들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종합병원 유치 등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는데, 종합병원과 결합한 의료연구단지는 청사 유휴지를 잘 활용 할 방안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제시안은 시민이 반대하는 과천청사 일대 주택공급 계획을 막으면서 정부의 공공주택 확대 정책의 정책 목표를 이룰 수 있는 최선의 대안이라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시는 “정부의 사업계획이 구체화해 공식 발표되기 전에 내부적으로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시민 모르게 정부와 대안 협의를 진행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김 시장은 “8.4 대책 이후 청사 주택 문제로 많은 심적 고통을 겪고, 청사 앞과 여의도 민주당사 앞에서 피켓 시위를 하며 고생하는 것에 대해 시장으로서 진심으로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