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장은 31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장 예비후보자들의 쏟아지는 부동산 공약 속에서 기피시설 계획은 빠져 있다”며 서울시의 독단적인 도시계획을 비판했다.
이 시장은 “실제로 고양시에는 벽제화장장과 서울 시립묘지 등의 장사시설,난지물재생센터·음식물폐기물 처리시설 등 서울시의 기피 시설이 가장 많아 피해가 막심하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고양시에 있는 난지물재생센터는 서울 마포·서대문·용산·종로·중구 지역 하수를 처리하는데,주택 20만 호가 공급되면 인구 50만 명이 늘어나고 하수량은 무려 18만t이 늘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과 인접한 땅 1억3223만1405㎡(4000만 평)가 그린벨트로 묶여 고양시민들의 사유재산권을 침해당했고,서울 집값 안정화를 위해 베드타운이 돼 왔다”고 주장했다.
이 시장은 “고양시에 더는 서울시 기피 시설 신설은 물론,증설도 불가하다”며 “조만간 서울시장 예비 후보들을 만나 이 문제에 대해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