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도의원은 “깨끗하고 안전한 화장실 보급은 학생의 건강과 행복을 지키는 매우 중요한 일이나 아직도 대다수의 학교 화장실에는 각 칸마다 화장지나 손 세정제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며 학교 화장실의 열악한 환경시설에 대한 문제를 지적했다.
특히, 김 도의원은 “요즘 공중화장실에도 화변기가 없는데, 새로 신설된 학교에도 화변기가 설치된 것을 보고 매우 놀랐다”며 “특히 동두천ㆍ양주의 일부 학교는 화변기 보유 비율이 70%에 달한다”고 말했다.
또한 김 도의원은 “학업 부적응 등 위기상황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일반교사 역시 행동수정교육 등의 연수를 이수해 학생에 대한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