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금 쌓이자 운용 방안 논의
제주, 곶자왈 공유 사업 계획
모금액 예상 어려워 용처 신중
‘크라우드펀딩식’ 모금안 나와
19일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지자체 간 협약과 상호 기부, 유명인 기부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향사랑기부제가 흥행을 이어 가고 있다. 전북에서도 40여일간 모금된 고향사랑기부금이 8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군 단위 소규모 지자체에서도 1억원 이상의 기금이 모금됐다.
기금이 쌓이면서 각 지역에선 기금 운용 방안을 찾기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전북도는 현재 내부적으로 아이디어를 신청받고 있다. 상반기 안으로 고향사랑기금운용심의위원회를 열어 운용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세부 사업과 운용 방안을 기금운용심의위원회에서 정할 것”이라며 “각 분야 전문가들과 도민 삶의 질 제고에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사용처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이색 답례품으로 관심을 끌었던 지자체들 역시 기금 사용처 결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제주도는 기부금을 곶자왈 공유화 사업이나 해양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해 쓰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충북도는 기부금을 ‘의료비 후불제’로 사용한다는 입장이다. 기부금을 의료비 후불제 예산에 투입해 도 투입 예산을 줄이고 도민들의 복지 혜택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전남 영암군 역시 지역사회 공헌에 중점을 두고 시급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도록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예상 모금 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워 기금 사용처 결정에 애를 먹는 지자체가 많다. 기금 규모에 따라 사업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신속하게 사용처를 정하지 못해 기금이 제때 쓰이지 않는다면 기금을 쌓아 둘 수밖에 없고, 결국 기부 의지를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에 일부 지역에선 기부금 사용처, 규모, 방식을 우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기부받는 일명 ‘크라우드펀딩’ 방식으로 제도를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