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3가구 정확한 위치 파악 가능
위기 대상자 촘촘하게 복지 지원
상세주소란 도로명주소 건물번호 뒤에 표기하는 동·층·호로, 구체적인 거주 장소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취약계층 밀집 시설인 다가구주택과 고시원 등 비정형 임시거주시설은 일반적으로 상세주소가 부여돼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정확한 위치 정보를 알 수 없어 긴급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고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상 포착되지 않아 위기 신호를 놓치기 쉽다.
이에 구는 위기가구 찾기의 주요 정보인 상세주소를 부여하고자 곧바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현장 조사를 한 뒤 총 1113가구에 상세주소를 부여했다. 이로써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해져 위기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다.
구는 상세주소가 부여된 1113가구를 대상으로 위기가구 발굴에 나서기도 했다. 담당 부서와 복지플래너, 공인중개사 등 315명으로 구성된 ‘인적 안전망’이 긴밀하게 협력해 위기 신호가 감지된 196가구를 새롭게 찾아냈다.
김경호 광진구청장은 “숨어 있는 위기 신호를 더욱 샅샅이 살펴 빈틈없이 촘촘한 복지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장진복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