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비진학 청년 또래 청년들과 네트워크 필요”
서울시, 올해 예산 1억원으로 비진학청년 프로그램
서울시가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들이 함께 모여 진로를 찾을 수 있는 ‘청년인생설계학교’의 ‘대학 비진학청년 특화 코스’ 첫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 청년인생설계학교는 인생전환기에 놓인 청년들이 진로설계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전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울시 정책이다. 시는 지난해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소속이었던 이영은(26)씨 등이 제안한 ‘서울형 대학 비진학청년 사회진입모델’을 이번에 ‘대학 비진학청년 특화 코스’로 정책화 했다. 올해 1억 400만원의 청년자율예산을 편성해 시범 운영한다.
지난 3월 국무조정실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발표한 ‘2022 청년 삶 실태조사’ 결과, 만 19~34세 청년 중 최종 학력이 고졸 이하인 경우는 14.6%로 나타났다. 대학 비진학의 사유는 2021년 통계청 청년 사회경제실태조사에 따르면 “빨리 취업하여 돈을 벌고 싶기 때문에”가 30.7%로 1위를 차지했지만 비진학청년들은 충분한 적성과 진로 탐색이 부족한 채로 저임금 비숙련 노동 시장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시는 진로 탐색과 사회적 자본 형성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비진학청년의 인생 설계 지원을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삶과 일의 첫 설계를 시작하는 ‘라이프 코스’, 직장인 청년의 조직과 관계를 배우는 ‘커리어코스’,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등 자신만의 소통 역량 강화와 팀 빌딩이 필요한 청년들에게 맞는 ‘리더십코스’ 등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대학 비진학청년은 그동안 청년정책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평가가 있었다”면서 “이번 청년인생설계학교 비진학청년 코스 신설을 통해 청년정책의 사각지대를 줄이고 비진학청년 지원 확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재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