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수원·화성 공동 개최
8~9일 거점별 체험프로그램도
원행은 조선시대 왕이 부모님의 산소에 행차하는 것을 말한다. 융릉은 과거 ‘현륭원’이라고 불리던 사도세자의 묘다.
정조대왕 능행차는 1996년 수원시가 능행차의 일부 수원 구간(8㎞)을 재현하면서 시작됐다. 2016년 서울시가 참여해 창덕궁~수원화성까지로 행렬 구간을 늘렸고, 2017년부터는 화성시의 참여로 창덕궁에서 융릉까지 전 구간을 재현하고 있다. 경기도는 2018년부터 참여했다.
올해도 창덕궁에서 융릉까지 총 59.2㎞ 중 43.3㎞를 재현한다. 서울은 창덕궁에서 시흥5동 주민센터까지의 일부 구간을, 수원·화성은 안양에서 화성(융릉)까지 전 구간 재현에 나선다.
서울은 총 200명이 말 20필을 이끌고 일부 구간씩 나눠서 행렬을 재현한다. 강북 구간은 창덕궁부터 종로3가를 지나 세종대로 사거리까지이다. 행렬 종료 후 노들섬 배다리 마당무대에서 배다리 도하 의식을 한 뒤 강남 구간인 금천구청~시흥5동 주민센터 행렬이 이어진다.
특히 서울 구간 노들섬 행사에서는 서울시 무형문화재 보유자 등과 함께 하는 ‘서울무형문화축제’가 진행된다. 이외에도 광화문광장, 행궁광장, 융릉 등 주요 거점별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조희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