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업체 감리 병행, 지역 민원에 따른 공기 지연, 시민 안전위협 문제 등 지적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송도호 위원장(더불어민주당·관악1)은 지난 8일 실시된 제321회 정례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소관 도시기반시설본부(시설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책임감리제도 운영의 미흡함을 질타했다.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대형건설사고가 끊이지 않고 발생하자 대안으로 1994년 설계·시공·감리를 제도적으로 분리하면서 감리를 통해 설계사 및 시공사에 대한 철저한 견제를 위해 ‘책임감리제도’를 시행해왔다.
이와 관련해 송 위원장은 “남부순환로 평탄화 공사를 비롯해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 설계업체가 시공감리까지 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송 위원장은 “이는 설계가 부실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설계업체가 그대로 시공감리를 하게 된다면 책임감리제 운영이 재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이 아니냐”라고 문제를 제기했으며 “우려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 차원에서 개선계획을 세워 철저한 사업관리를 해달라”고 시정조치를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송 위원장은 시민제보 사항을 언급하며 “지역주민 민원에 따라 공기가 10여년 이상 지연되는 경우 주민협의체 등을 통해 적극적인 소통으로 풀어나가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