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덕운동장에 아파트 건립? “사업비 충당” vs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우리도 달빛철도처럼”… 동서 지자체들, 철도 연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전남, 고속도 법면에 전국 첫 태양광 사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경기의료원 이천·파주병원, 장애인 건강검진기관 선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김경 서울시의원, 전문 화학용어 모르면 사용 못하는 ‘서울형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위험성 알리는 노력부족으로 ‘4급 암모늄 살균제’ 공기분사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있어
시민이 ‘에x킬x’혹은 ‘비x킬’이라고 검색한다면 ‘공공 DB내 해당 정보 없음’이라고 표시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김경 의원(더불어민주당·강서1)은 제321회 정례회 보건복지위원회 소관 시민건강국 소관 예산안 심사에서 서울형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서울형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는 생활 화학제품 등에 의한 유해화학물질 노출 예방으로 시민건강을 보호하고 동시에 중독사고 시, 시민들에게 신속하고 적절한 응급의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으로 지난 2021년부터 대한민국 최초로 운영 중인 전국 유일의 ‘독성물질 중독 관리센터’이다. 하지만, 센터의 운영 및 서비스 제공 방식은 일반 시민이 사용하기엔 너무나 어렵다.

최근 가장 이슈가 됐던 ‘빈대 살충제’와 관련해 시민이 ‘에x킬x’혹은 ‘비x킬’이라고 검색한다면 ‘공공 DB 내 해당 정보 없음’이라고 표시되어 많은 혼란을 줬다. 제대로 된 검색을 위해선 살충제의 성분인 ‘피레스로이드’를 입력해야 했고, 해당 계열 살충제에 내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간 이후에는 또다른 화학물질명을 넣어 직접 검색해야만 했다.

김 의원은 “시민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센터에서 대다수의 시민이 활용하지 못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라며 “정확한 화학성분이나 독성 성분명으로 검색해야 하니 전문가를 위한 센터가 아니냐”라며 전문가와 정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설립취지에 맞게 일반 시민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되어야 하는데 이런 상태라면 불필요한 센터라며 센터 폐기를 주장했다.

해당 센터는 지난해 5월 ‘코로나19 소독제의 공기 중 분사방식의 위험성’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했으나, 이를 서울시내 다른 실·국에 공유하고 알리는 과정이 부족했고, 이런 미진한 대응으로 인해 올해 5월 JTBC에서 보도가 나올 때까지 다중이용시설에서 ‘4급 암모늄 살균제’를 공기분사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형 독성물질 중독관리센터’는 빈대 퇴치나 코로나19 소독제와 같은 ‘현안 사안’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고 설명했으며 “중독관리센터가 조금만 더 능동적·적극적으로 정보를 알렸더라면 최근과 같은 빈대 확산을 막고, 시민들이 좀 더 안전해졌을 것”이라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온라인뉴스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