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지리적인 이유로 예술 진학 포기하는 사례 많아
“교육불평등 해소에 서울시교육청이 적극 나서야”
우원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을, 가운데 서명부를 들고 있는), 서준오 서울시의원(제일 왼쪽), 봉양순 서울시의원(오른쪽에서 두 번째)과 서명운동을 진행한 노원구 학부모들의 모습. |
노원구는 강남구, 양천구와 함께 서울의 3대 교육도시로 손꼽히지만 노원구가 있는 서울 동북권에는 예술교육을 실시할 예술중·고등학교가 없다. 예술 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거나 장거리 통학을 해야 해 학업을 중도 포기하는 사례도 많다.
예술교육은 학생·학부모가 부담해야 할 학비가 굉장히 비싸 공립학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타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경기예고(공립)는 학생 1인당 부담액(1년)이 391만원에 불과하지만 서울시 사립학교는 예고 964만원, 예중은 950만원에 달한다. 이 금액은 1년치 학비로 중·고등학교 6년과 입시에 필요한 사교육비를 합친다면 그 부담은 더욱 가중된다. 소위 있는 집 자식들만 예술교육을 받을 수 있는 교육불평등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K-POP, K-Culture가 전 세계로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예중·고의 경우 대부분 순수 예술(무용, 미술, 음악)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문화의 대외적 위상이 높아지고 이에 학생들의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문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서울시교육청의 전략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날 서 의원과 봉 의원, ‘노원 공립예술중고등학교 설립 추진위원회(상임대표 우원식 국회의원)’는 지난 10월 18일부터 11월 30일까지 받은 총 2341명(온라인 473명, 오프라인 1868명)의 주민서명을 서울시의회 의사담당관에 전달했으며, 주민청원의 형태로 전달된 서명부는 서울시의회에 안건으로 넘겨져 심사할 예정이다.
서 의원은 서라벌고 앞 주차장 부지를 노원 공립 예술중·고등학교 건립에 가장 적합한 부지로 보고 있다. 이에 이 부지를 중심으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도록 2024년 서울시교육청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