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출신 귀촌 절반이 경기로 옮겨
귀촌자 47%는 같은 광역지자체로
직업·주택 등 불가피한 이주가 82%
“정책 점검, 지속 가능 방안 마련해야”
비수도권 인구를 늘리기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적극 지원하는 귀촌사업의 효과가 기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 인구의 절반 가량이 같은 광역자치단체 안에서 거주지만 옮기는 데 그쳤을 뿐 아니라 나홀로 귀촌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11일 통계청의 2023년 귀촌 현황 분석 결과 지난해 귀촌인 40만 903명의 47.7% 19만 1032명의 전 거주지가 동일한 광역지자체인 것으로 조사됐다. 관내 귀촌 비율은 대구가 71.4%로 가장 높았고 부산 65.7%, 전북 64.1%, 경기 57.4%, 울산 51.9%, 경남 50.7% 순이었다. 이 같은 귀촌은 동일 광역지자체 내에서 주소만 옮기는 것으로 인구증가 효과가 없다. 제주도 역시 동일 광역지자체 내 귀촌이 42%나 됐고 경북 41.2%, 강원과 충남 각각 37.9%, 충북 36.5%, 전남 34.9% 등으로 10명 중 3~4명은 같은 지역 거주자였다. 특히, 서울에서 지방으로 거주지를 옮긴 귀촌인은 5만 2231명으로 13.03%에 그쳤다. 게다가 50%, 2만 6137명은 경기도에 귀촌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귀촌인의 절반이 수도권에 둥지를 튼 셈이다.
전국에서 귀촌인이 가장 많은 경기도는 11만 1798명 가운데 57.4% 6만 4225명이 같은 경기도에서 이사한 것으로 집계됐다. 귀촌이 수도권 인구 지방 분산 효과가 매우 적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가구당 귀촌인도 1.3명에 지나지 않았다. 지난해 귀촌가구는 30만 6441가구로 나홀로 귀촌이 대다수라 수도권 인구 분산과 비수도권 인구 증가에 큰 효과가 없는 주요인이었다.
귀촌가구의 전입사유도 직장이나 가족관계, 주거 여건 때문에 불가피하게 거주지를 옮기는 경우가 82.7%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귀촌 사유를 조사한 결과 직업이 34.5%, 10만 5685가구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이어 가족관계 24.1% 7만 3768가구, 주택 24.1% 7만 3721가구 등이었다. 반면, 교육은 2% 6268가구, 주거환경 3.2% 9936가구, 자연환경은 4.9% 1만 4905가구에 지나지 않았다.
전주 임송학 기자
2024-09-12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