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위례선 트램, 한달간 예비주행 시험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높이 15m 미끄럼틀 타고 ‘슝~’…동작구 신청사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경력단절 여성 세무회계 교육하는 양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생활체육 선도하는 ‘건강도시 금천’…수육런부터 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초밥에 딸려오던 ‘물고기 간장’ 편했는데…“위험” 지적 나온 이유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남호주 당국, 물고기 간장 용기 전면 금지


일본 아사히소교의 간장 용기 ‘런치참’. 아사히소교 홈페이지 캡처


전 세계 초밥 전문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물고기 모양 간장 용기’가 남호주에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남호주 환경당국이 이 간장 용기 사용을 전면 금지했기 때문이다.

지난 31일(현지시간) 영국 BBC 등에 따르면 남호주 주정부는 일회용 플라스틱 전면 금지 정책의 일환으로 9월 1일부터 물고기 모양 간장 용기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2023년 9월부터 시행된 환경법 개정안에 따른 것이다. 이번에 금지된 것은 뚜껑, 캡, 마개가 있는 30㎖ 이하의 간장 소분 용기다.

물고기 모양 간장 용기는 테이크아웃 전문점에서 ‘필수품’처럼 사용돼왔다. 이 용기는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지만, 작은 크기 때문에 재활용 설비에서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수잔 클로즈 남호주 환경부 장관 겸 부총리는 “물고기 모양 용기는 사용 시간은 몇 초에 불과하지만, 쓰레기로 버려질 경우 수십년, 수백년 동안 환경에 남는다”고 설명했다.

해양 생물들이 물고기 모양 용기를 먹이로 오인해 위험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애들레이드대 해양생태학자 니나 우튼 박사는 “두꺼운 플라스틱이라 분해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떠다니는 동안 해양 생물이먹이로 오인해 섭취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인에게도 친숙한 이 용기는 1954년 일본 식품 관련 자재 회사 아사히소교 창립자 와타나베 테루오가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 도시락을 구매하면 들어있던 ‘런치참’(Luncharm)이라는 이름의 이 용기는 이제는 세계 각국에서 가장 흔한 포장용 간장 용기로 자리 잡았다.

윤예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Leaders Today

서울 준공업지역 용적률 최대 400%로… 재건축·재

삼환도봉아파트 343% 첫 적용 최고 42층 993가구… 333가구↑ 분담금 평균 1억 7000만원 줄어

청렴 1등급 광진구, 9월은 ‘청렴 페스타’ 운영

권익위 2년 연속 종합청렴도 1등급 달성 쾌거

외국인 ‘문화적 다양성’ 껴안는 구로

‘상호문화 역량강화 교육’ 진행 통장·자치위원 등 200명 참석 강연자에 예이츠 서울대 교수 장인홍 구청장 “존중·포용 중요”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