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과 광양서 35구 수습, 유전자 검사로 2구 신원 확인
1948년 여순사건 당시 무고하게 희생된 민간인들의 신원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5일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전남 담양군 대덕면 옥천약수터에서 발굴된 유해 26구 가운데 2구의 신원이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인됐다.
위원회는 유전자 대조 검사를 거쳐 담양에서 발굴된 2구와 유가족의 유전자와 일치한 것을 확인했다.
담양 옥천약수터에서는 작년 2월에 26구의 유해와 탄피, 고무신 등 109점의 유류품이 발견됐다.
발굴된 유해는 작년 7월 봉안식을 거쳐 세종추모의 집에 안치됐고 이번 유전자 검사로 2구의 신원이 확안됐다.
광양 매티재에서도 지난 2월부터 발굴이 시작돼 9구의 유해와 탄피, 고무신 등 46점의 유류품이 발견돼 수습된 유해와 유류품은 지난 8월까지 세척과 보전처리, 유전자 검사 및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쳤다.
위원회는 작년 11월부터 담양과 광양에서 수습한 35구의 유해에 대해 구례·광양·하동 지역 유가족 94명을 대상으로 유전자 검사를 했다.
이번에 신원이 확인돼 2구 외에 33구의 유전자 정보가 유가족과 일치하지 않아 추가 조사와 발굴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위원회는 오는 25일 오전 10시 광양시공설운동장 실내체육관에서 올해 광양 매티재에서 새로 발굴된 9구 유해에 대한 봉안식을 열고 신원이 확인된 담양 옥천약수터 희생자 유해 2구를 가족 품에 인도할 예정이다.
봉안식을 마치면 광양매티재 발굴 유해 9구는 국가 묘역인 세종 추모의 집에 안치될 예정이다.
위원회는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유해는 지속해 유족 채혈과 유전자 검사를 진행하고, 올해 11월 구례 차독골에서 유해를 추가 발굴할 계획이다.
지난 2021년 여순사건 특별법이 제정되고 정부 차원의 유골 발굴이 시작된 이후 유전자 검사로 희생자의 신원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어서 추가 사례가 더 나올지 주목된다.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는 “앞으로도 유족의 한을 풀어주고 과거와의 화해 및 국민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담양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