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산단 중심 4년간 다공성 탄소 소재 제조·공정 기술 개발 나서
세계적인 석유화학 과잉 공급으로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된 전남 여수 석유화학산업단지가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산업 전환의 교두보를 마련했다.
여수시는 여수산단 DL케미칼과 전남테크노파크 컨소시업이 산업통상자원부의 ‘폴리올레핀 활용 다공성 전극소재 제조 및 친환경 공정 기술개발’ 공모에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과잉생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대표적인 석유화학 제품인 폴리올레핀(PE·PP 등)을 활용해 고부가가치 다공성 소재로 전환하기 위한 핵심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 실증하는 것이다. 여수국가산단 DL케미칼과 전남테크노파크 등이 올해부터 2028년까지 국비 111억원 등 총사업비 166억원을 투입해 진행한다.
폴리올레핀은 중국과 중동 등의 대규모 설비 증설로 수출량이 급감한 국내 대표 석유화학 범용 소재로 수요처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전환이 시급한 제품이다.
이번 과제는 폴리올레핀의 열분해와 구조제어 기술로 다공성과 전도성을 부여해 이차전지 음극 소재 등에 활용되는 다공성 탄소 소재 제조·공정 기술개발을 목표로 한다. 다공성 탄소 소재의 경우 원료부터 최종 물질까지 수입에 의존, 국산화가 완료되면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위기 극복과 함께 이차전지 산업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수 류지홍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