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격월 바르고 고운 우리말 글귀 선정 활용
‘모든 노을이 사라지는 건 아니야 그 빛은 내일 아침을 데우니까’.
세종시는 3일 을사년을 마무리할 11∼12월 바르고 고운 우리말 글귀를 선정했다. 우리말 글귀는 지난달 13~19일까지 시 누리집에서 시민이 추천한 총 53건 중 내부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됐다. 글귀는 지난 1년을 되돌아보며, 남은 시간이 내일의 따뜻한 시작이 될 수 있다는 기대와 희망을 담고 있다. 시는 우리말 글귀를 시청과 주요 도로변 전광판, 공공기관 현수막 등에 게시할 예정이다.
국내 첫 한글 문화도시인 세종은 도시의 정체성을 살리고 한글의 가치와 매력을 확산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민에게 일상 속 마음의 여유를 전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격월로 ‘바르고 고운 우리말’을 선정하고 지난달에는 세종만의 공공 서체 ‘세종 자으미 모으미체’를 선보였다. ‘세종 자으미 모으미체’는 한글의 아름다움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시민들이 직접 쓴 자신의 이름 손 글씨를 기반으로 전문가 작업을 거쳐 완성해 무료로 제공한다. 지난달 9~11일 열린 세종 한글 축제에서는 ‘한글 한복’이 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김려수 세종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우리말 문화의 맥을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발굴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