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경기도 청년기본조례 개정에 따라 경기도 청년지원센터가 경기 남, 북부에 각각 설치돼 지역 특성에 맞게 운영되도록 규정이 마련됐다. 하지만 경기도미래세대재단 한 곳이 두 곳의 청년지원센터를 모두 위탁받게 되면서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가 사실상 특색 없는 청년지원센터 ‘북부 출장소’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11월 10일 경기도의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경기북부인 남양주를 지역구로 둔 유호준 의원(남양주 다산·양정)은 이날 질의를 통해 “지난 3월 만난 경기북부지역 청년활동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지난 7월 경기도의회에서 경기도 청년지원센터가 남부와 북부 분리 설치되도록 조례를 개정했다”며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 설치 요구가 지역 청년활동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일임을 강조했다. 이어 “그러나 현재 남부센터와 마찬가지로 북부센터 역시 경기도미래세대재단이 위탁받는 것으로 결정되며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가 지역 특색 없는 ‘북부 출장소’가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다”며 지역 청년활동가들의 우려를 전달했다.
이에 김현삼 경기도미래세대재단 대표는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는 미래세대재단 북부지소와 경기북부 지역에 특화된 청년지원센터 두 가지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본인이 생각하는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의 역할을 밝혔다. 아울러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가 지역 청년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운영 인력과 프로그램 구성에서 차별화 전략을 마련하겠다”며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 관련 예산이 별도로 주어진다면 경기북부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김현삼 대표이사의 의지를 확인한 유 의원은 남양주시 청년정책위원장 역임 시절 경기 북부의 청년 지원 인프라 부족을 체감했다며 “경기남부와 북부의 청년 정주여건이 다른 만큼 청년지원센터의 역할을 물론이고 개별 사업 모두 남부와는 차별이 돼야 한다”며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또한 “특히 남부센터에 투입되는 재원과 인력만큼 북부센터도 충분히 지원이 있어야 한다”며 새롭게 시작하는 경기북부 청년지원센터에 충분한 지원이 필요함을 역설했다.
온라인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