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장관 한성숙, 이하 중기부)는 인공지능(AI) 등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의 신기술 전략 확보와 세계(글로벌)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외 창업기업(스타트업), 전문가, 대기업, 공공기관, 벤처투자사(VC) 등이 함께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 토론회(포럼), '국제(글로벌) 초격차 기술(테크) 학술대회(컨퍼런스)'를 10월 28(화)~29(수)까지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8월 제주도에서 개최한 제31차 '아시아 태평양 겨여제협력체(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제주 이니셔티브」를 채택하고 공식 출범한, 대한민국 주도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와 이해 관계자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APEC Startup Alliance」의 후속 조치로 마련되었다.
또한, 세계(글로벌) 시장에서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10월 24일(금)부터 11월 2일(일)까지 개최하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의 공식 부대행사로 추진하게 되었다.
올해 3번째로 개최하는 기술(테크) 학술대회(컨퍼런스)는 '모두를 위한 AI 대전환(AX for ALL)'이라는 주제 아래,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양자기술까지 10개 신산업 분야 기술토론회(포럼) 및 참가자(패널) 토의(13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국가 인바운드 프로그램 등 특별부문(세션, 5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등 부대행사(8개), 기술전시회로 구성되었다.
개막식은 10월 28(화) 14시에 중기부 장관, 국내외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 대표, 대기업 임직원,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 기술전시회 투어를 시작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Mithril AI 대표 Jared Quincy Davis의 기조연설과 참가자(패널)토의*로 마무리 되었다.
* (발표주제) 전례없는 임팩트의 시대, AI 전환기의 글로벌 스타트업
(패널) GIST 공득조 AI연구소장, 중기부 창업정책관, KT 배순민 상무, 퓨리오사 AI 백준호 대표, 노타 AI 채명수 대표, SW정책연구소 조원영 실장
기술토론회(포럼), 특별부문(세션), 부대행사 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기술토론회(포럼)
10월 28일(화) 첫날 KAIST 주관으로 로봇 분야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이 새롭게 여는 로봇산업 선순환 생태계'를 주제로 황보제민 교수의 발표와 참가자(패널)토의로 시작된 기술 토론회(포럼)는 초격차 10대 분야 13개 부문(세션)으로 진행되었다.
< 기술포럼 주제 및 연사>
② 특별부문(세션)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과 일반인 모두가 최신 이슈와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첫날은 케이(K)-인공지능(AI)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관련 5개 정예팀이 출동하여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목표,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인공지능(AI) 창업기업(스타트업)과 협업 방안 등을 토론했다.
또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등 7개국 대사관 등에서 각국의 '국제(글로벌) 인바운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사우디 아라비아 투자부 등과 함께하는 투자 유치를 진행하는 등 양일간 5개의 특별 부문(세션)이 진행되었다.
< 특별세션 주요 내용>
③ 부대행사 등
심층기술(딥테크) 스타트업의 성장과 세계(글로벌) 진출을 위해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투자유치, 교류행사(네트워킹) 등 8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AI)과 로봇 분야는 주요 대기업 등과 창업기업(스타트업) 간 협업을 위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운영하였다.
생명(바이오) 제약 분야는 미국 독일 등 주요 생명과학(바이오) 선진국 대사관 상무관 등을 초청하여 해당국 진출 전략 등을 논의하는 협력행사(파트너링)를 진행하고, 생명과학(바이오) 기업형벤처투자사(CVC) 등과 투자유치 발표(IR)도 진행하였다.
또한, 올해 구성한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전담 투자 협의기구인 '초격차 벤처투자사(VC) 회원제(멤버십)*'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유망 초격차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발표(IR)를 추진하였다.
* 초격차 스타트업 대상 국내 투자유치 활성화에 협조하기로 뜻을 모은 VC 협의체
< 부대행사 주요 내용>
그리고, 인공지능사관학교 및 인공지능(AI) 융합대학 졸업자 등을 대상으로 채용과 구직을 위한 채용박람회를 개최하였고,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공공기관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조달청에서 공공구매 상담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혁신 인공지능(AI) 기술을 보유한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17개사의 기술전시회를 로비에 마련하여 관람객이 창업기업(스타트업)의 기술력과 미래 비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10.28) 허드슨AI 등 AI 스타트업 11개사
(10.29) 랩엔피플 등 바이오・헬스케어 6개사
중기부 한성숙 장관은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심층기술(딥테크 기술)은 단순한 아이디어나 서비스 혁신을 넘어, 일상생활과 산업구조를 근본적으로 혁신하며, 미래의 핵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면서,
"중기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글로벌) 시장 정책환경에 발맞춰,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정책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 행사 개요 > | ||
| (일시, 장소) '25. 10. 28(화)~29(수)(2일간) , 워커힐 호텔(서울 광진구) * 개막식 : 10.28(화) 14:00, 비스타홀(기술 체험존 투어, 인사말씀, 기조연설 및 패널토론 등) (참석자) 국내외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 대・중견기업・공공기관, 벤처투자사(VC), 전문가 등 2,000여명 (주요내용) 개막식, 기술토론회(포럼, 10개 분야 13개), 특별부문(세션, 5개), 부대행사(8개), 전시회 |
||
이번 행사는 지난 8월 제주도에서 개최한 제31차 '아시아 태평양 겨여제협력체(APEC) 중소기업 장관회의'에서 「제주 이니셔티브」를 채택하고 공식 출범한, 대한민국 주도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원국의 스타트업 생태계와 이해 관계자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APEC Startup Alliance」의 후속 조치로 마련되었다.
또한, 세계(글로벌) 시장에서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인공지능(AI) 등 신산업 분야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10월 24일(금)부터 11월 2일(일)까지 개최하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주간'의 공식 부대행사로 추진하게 되었다.
올해 3번째로 개최하는 기술(테크) 학술대회(컨퍼런스)는 '모두를 위한 AI 대전환(AX for ALL)'이라는 주제 아래,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양자기술까지 10개 신산업 분야 기술토론회(포럼) 및 참가자(패널) 토의(13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국가 인바운드 프로그램 등 특별부문(세션, 5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등 부대행사(8개), 기술전시회로 구성되었다.
개막식은 10월 28(화) 14시에 중기부 장관, 국내외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 대표, 대기업 임직원,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 기술전시회 투어를 시작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Mithril AI 대표 Jared Quincy Davis의 기조연설과 참가자(패널)토의*로 마무리 되었다.
* (발표주제) 전례없는 임팩트의 시대, AI 전환기의 글로벌 스타트업
(패널) GIST 공득조 AI연구소장, 중기부 창업정책관, KT 배순민 상무, 퓨리오사 AI 백준호 대표, 노타 AI 채명수 대표, SW정책연구소 조원영 실장
기술토론회(포럼), 특별부문(세션), 부대행사 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기술토론회(포럼)
10월 28일(화) 첫날 KAIST 주관으로 로봇 분야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이 새롭게 여는 로봇산업 선순환 생태계'를 주제로 황보제민 교수의 발표와 참가자(패널)토의로 시작된 기술 토론회(포럼)는 초격차 10대 분야 13개 부문(세션)으로 진행되었다.
< 기술포럼 주제 및 연사>
| 분야 | 주제 | 발표자 |
| ①시스템반도체 | On-Device AI, 산업, 모빌리티, IoT 관점에서 | Infinion 부대표 |
| ②바이오(신약) | AI 기반 신약 개발, 협력 비즈니스 모델 | 신테카바이오 대표 |
| ③바이오(헬스케어) | AI 기술이 접목된 암 수술 사례와 연구 | 서울대 의대 교수 |
| ④자율주행 | SDV 시대,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변화 | LG전자 연구원 |
| ⑤친환경 | 기후테크 AI 융합기술을 통한 산업의 혁신 | KAIST 교수 |
| ⑥에너지 | Energy for AI | 유튜버 유우종 |
| ⑦로봇 | 휴머노이드와 AI 융합이 새롭게 여는 로봇산업 | KAIST 교수 |
| ⑧AI·빅데이터 | Future of Physical AI and Robotics | MIT 교수 |
| ⑨사이버보안 | AI 공격 시나리오, 위협 인텔리전스,스타트업 솔루션 | MS 부사장 |
| 우주·항공 | 한국형 우주방위산업 전략과 스타트업 협력 방안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해양 | 국내 해운산업의 현황과 AI 협업 과제 | 한국해운협회 상무 |
| 차세대원전 | 차세대 원전 AI 융합 핵심사례 | KAIST 교수 |
| 양자기술 | 양자기술 100년, 퀀텀 토크콘서트 | 연세대 교수 |
② 특별부문(세션)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과 일반인 모두가 최신 이슈와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첫날은 케이(K)-인공지능(AI)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관련 5개 정예팀이 출동하여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목표,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인공지능(AI) 창업기업(스타트업)과 협업 방안 등을 토론했다.
또한,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원국 등 7개국 대사관 등에서 각국의 '국제(글로벌) 인바운드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교류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사우디 아라비아 투자부 등과 함께하는 투자 유치를 진행하는 등 양일간 5개의 특별 부문(세션)이 진행되었다.
< 특별세션 주요 내용>
| 구분 | 주요 내용 |
| ①독자파운데이션 | 한국형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현황과 과제 발표 및 토론 |
| ②APEC 인바운드 | 미국, 일본 등 주요 APEC 국가 대사관 초청 스타트업 지원 정책 소개 |
| ③글로벌 기술 | AI, 반도체, 모빌리티, 에너지 기술 글로벌 동향 소개 |
| ④사우디밋업 | 사우디 인바운드 프로그램 소개 및 국내 딥테크 스타트업 Private IR |
| ⑤유튜버세션 | (코코보라) 크리에이터와 AI, 새로운 창작의 시대 |
③ 부대행사 등
심층기술(딥테크) 스타트업의 성장과 세계(글로벌) 진출을 위해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투자유치, 교류행사(네트워킹) 등 8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AI)과 로봇 분야는 주요 대기업 등과 창업기업(스타트업) 간 협업을 위한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을 운영하였다.
생명(바이오) 제약 분야는 미국 독일 등 주요 생명과학(바이오) 선진국 대사관 상무관 등을 초청하여 해당국 진출 전략 등을 논의하는 협력행사(파트너링)를 진행하고, 생명과학(바이오) 기업형벤처투자사(CVC) 등과 투자유치 발표(IR)도 진행하였다.
또한, 올해 구성한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전담 투자 협의기구인 '초격차 벤처투자사(VC) 회원제(멤버십)*'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유망 초격차 스타트업의 투자유치 발표(IR)를 추진하였다.
* 초격차 스타트업 대상 국내 투자유치 활성화에 협조하기로 뜻을 모은 VC 협의체
< 부대행사 주요 내용>
| 구분 | 주요 내용 |
| ①AI 오픈이노베이션 | CJ ENM, 카카오 등 콘텐츠 분야 대・중견기업과 1:1 매칭 |
| ②로봇 오픈이노베이션 | 호반건설 등과 주요 협업 프로그램 소개 및 밋업 |
| ③바이오 파트너링 | 미국, 독일 등 대사관들과 해당국 진출전략 등 논의 |
| ④바이오 CVC IR | 바이오 스타트업 해외 진출방안 발표 및 IR |
| ⑤팹리스 교류회 | 팹리스 스타트업과 파운드리 간 기술교류 및 네트워킹 진행 |
| ⑥초격차 IR | 초격차 VC 멤버십 투자자 대상 투자유치를 위한 IR 제공 |
그리고, 인공지능사관학교 및 인공지능(AI) 융합대학 졸업자 등을 대상으로 채용과 구직을 위한 채용박람회를 개최하였고,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의 혁신 기술과 제품을 공공기관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조달청에서 공공구매 상담을 진행하였다.
아울러, 혁신 인공지능(AI) 기술을 보유한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17개사의 기술전시회를 로비에 마련하여 관람객이 창업기업(스타트업)의 기술력과 미래 비전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10.28) 허드슨AI 등 AI 스타트업 11개사
(10.29) 랩엔피플 등 바이오・헬스케어 6개사
중기부 한성숙 장관은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심층기술(딥테크 기술)은 단순한 아이디어나 서비스 혁신을 넘어, 일상생활과 산업구조를 근본적으로 혁신하며, 미래의 핵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면서,
"중기부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세계(글로벌) 시장 정책환경에 발맞춰, 심층기술(딥테크) 창업기업(스타트업)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을 통해 다양한 정책을 집중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