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025년 10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26.4포인트**를 기록, 전월(128.5포인트) 대비 1.6% 하락했으며 두 달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다고 밝혔다. 품목군별로 곡물, 육류, 유제품, 설탕 가격은 하락, 유지류 가격은 상승하였다.
* 유엔 식량농업기구는 24개 품목에 대한 국제가격동향(95개)을 조사하여, 5개 품목군(곡물, 유지류, 육류, 유제품, 설탕)별 식량가격지수를 매월 작성, 발표(2014~2016년 평균=100)
** (5월) 127.1 → (6월) 128.1 → (7월) 129.8 → (8월) 129.8 → (9월) 128.5 → (10월) 126.4
품목군 | '25.10월 지수 | 전월 대비 | 전년 동월 대비 | ||||
'25.9월 | 증감폭 | (증감률) | '24.10월 | 증감폭 | (증감률) | ||
곡물 | 103.6 | 104.9 | -1.3 | (-1.3%) | 114.4 | -10.8 | (-9.4%) |
유지류 | 169.4 | 167.9 | 1.5 | (0.9%) | 152.7 | 16.7 | (11.0%) |
육류 | 125.0 | 127.5 | -2.5 | (-2.0%) | 119.2 | 5.8 | (4.8%) |
유제품 | 142.2 | 147.2 | -5 | (-3.4%) | 138.6 | 3.6 | (2.6%) |
설탕 | 94.1 | 99.4 | -5.3 | (-5.3%) | 129.6 | -35.5 | (-27.4%) |
전체 | 126.4 | 128.5 | -2.1 | (-1.6%) | 126.9 | 0.5 | (0.4%) |
한편,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소비자 물가 조사 결과 국내 농축산물 소비자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여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쌀과 축산물은 다소 강세를 보이고 있다. 농식품부는 가격이 상승한 쌀과 축산물에 대해 자조금 등을 활용한 할인 행사를 지속하고, 김장철을 맞아 해수부와 함께 정부 비축 물량 방출 등 김장재료 공급 확대, 역대 최대 규모(500억원) 할인 지원 등 국민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대책을 추진 중이다.
붙임 1. 2025년 10월 품목군별 가격지수 변동원인
2. 2024/25년도 FAO 세계 곡물수급 전망
3. 식량가격지수 그래프(연도별·품목별)
4. 식량가격지수(2016~2025년)
※ 본 자료는 보도 편의를 위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자료를 요약·정리한 내용이므로 상세 내용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누리집(www.fao.org/worldfoodsituation/foodpricesindex/en)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