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5000만원,경북도는 2억원,김천시는 1억 2000만원,경주시는 6억원 등 모두 10억원의 예산으로 고속철 개통에 따른 역세권 개발의 연구용역을 줬거나 줄 계획인 것으로 19일 확인됐다.
그러나 이들 4개 자치단체의 연구용역은 중복되는 내용이 많아 ‘따로 노는 행정’의 나쁜 사례로 지적됐다.
경북도는 이달 중 고속철 개통 이후 동대구역과 김천·구미역,경주역 주변의 개발전략과 입지분석,산업유치,교통소통 방법 등 역세권 개발에 관한 연구용역(2억원)을 모 대학에 줄 계획이다.
또 김천시는 지난해 11월 같은 대학에 ‘고속철 역사 위치가 김천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용역(2000만원)을 의뢰했고,오는 3∼4월에 김천·구미역 주변의 도로와 용지 개발 등을 위한 역세권 개발용역(1억원)을 의뢰할 계획이다.
경주시도 올 하반기에 경주역 주변의 동해남부선 철도이설과 우회도로 개설,공원녹지 지정 등의 역세권 개발용역(6억원)을 대학 또는 국토개발연구원에 의뢰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김천,경주,대구시는 역세권 인접지역을 중심으로,경북도는 역세권 부근의 시·군까지 포함시킨 연구용역”이라고 해명했으나 확인 결과 김천,경주시 등은 시·군까지 포함한 역세권 개발을 구상하고 있었다.
대구 황경근기자 kkhwang@˝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