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기관 이전이 2012년부터 연차적으로 실시되는 등 장기 프로젝트로 추진돼 실현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이다.또 섣불리 의견을 표명했다가는 지자체끼리의 반발로 비쳐질 수도 있다는 우려도 깔려 있다.
서울시 공무원들은 행정기관 이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묻자 “현재 서울시의회가 반대운동을 벌이고 있고,얼마전 수도이전에 대해 민간단체 중심으로 헌법소원을 제기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느냐.”면서 “더 이상 할 말이 없다.”면서 말을 아꼈다.
그러나 임동규 서울시의회 의장은 “아무리 대선공약이라도 경제가 어려운데,엄청난 재정이 들어가는 수도이전을 꼭 해야하는지 의문이다.”면서 “국회 동의만 거칠 것이 아니라 국민투표에 부쳐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통일이 생각보다 빨리 올 수 있다.”면서 “통일 이후를 고려한다면 수도가 남쪽에 있는 것은 여러 모로 적당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경기도 유정인 정책기획관은 “국가기관의 신행정수도 이전은 수도이전을 전제로 추진되는 것이고 수도이전은 국회에서 통과된 사안이기 때문에 법을 따라야 할 공무원들이 가타부타 논할 수는 없다고 본다.”면서 “그러나 국가기관의 이전이 10년후의 중장기 계획이기 때문에 실제로 이전할지는 그때 가봐야 알 것이다.”고 말했다.수원 김병철·서울 이유종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