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재보궐선거’에서 민선 서울 영등포구청장으로 당선된 뒤 지난 15일 취임식 이후 공식업무에 들어간 김형수(金亨洙·56) 구청장의 말이다.
그는 “영등포는 한때 유동인구가 하루 평균 150만명을 넘을 만큼 서울의 대표적 번화가로 손꼽혔지만,지금은 낙후된 공장지대라는 인식이 자리매김하고 있다.”면서 “지난 20여년간 개발의 뒷전에 머물렀던 만큼 영등포역세권 개발과 신길동 뉴타운사업지구 확대,문래동 지역균형발전촉진지구 지정 등을 통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하는데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개발에서 소외된 지역의 주민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영등포균형발전촉진단’을 이르면 연내에 구성,보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약사 출신인 김 구청장의 건강·복지분야에 대한 관심은 남다르다.“선진 사회에 진입한다는 것은 노령화사회에 접어든다는 의미를 포함한다.”면서 “노인들의 일자리를 확보하고,저소득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지분야 예산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구청장은 2년여의 임기 동안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보다 주민들이 긍정적 의미의 변화를 체감하는데 힘을 쏟기로 했다.같은 맥락에서 취임 직후 주차난 해소를 위한 ‘일몰주차공간지정제’라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퇴근시간 후부터 출근시간 전까지 도로변을 주차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양성화하자는 취지”라면서 “도로교통법상의 문제점 등을 보완,추진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구청장은 영등포구의회 의장과 전국시·군·구의회 의장협의회 회장 등을 거치면서 강력한 추진력과 리더십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구의원이라는 ‘감시자’에서 ‘집행자’로 탈바꿈한 김 구청장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