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체험학교의 ‘0교시’는 교육장으로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 시작된다.체험학교를 담당하는 청소행정과 하동준(48) 주임이 일정과 환경 및 쓰레기문제 등에 대해 간결하게 브리핑을 한다.평소 궁금했던 점만 골라 설명해 주기 때문에 교육장 도착 직전 참가 학생들의 호기심은 최대치에 이르게 된다.
제1교육장은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선별해 압축·가열처리하는 공릉1동 재활용기계화선별장이다.직원으로부터 간단한 설명을 듣고 참가학생들은 선별대에서 캔류,플라스틱·페트병류,유리병류 등을 직접 분류한다.선별작업 후에는 스티로폼과 페트병이 가열·압축되면서 재활용되는 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 코스는 중계1동 노원환경자원전시관.노원재활용센터 2층에 위치한 이 전시관에는 스티로폼이 액자로,플라스틱류가 욕실발판으로,캔이 수도꼭지로 재활용된 제품들이 전시돼 있다.
마지막 교육장은 1997년에 지어진 노원자원회수시설이다.하루 800t을 처리할 수 있는 ‘첨단 폐기물소각장’인 이 시설은 재활용이 불가능한 화장지·목재 등을 소각처리한다.
물론 인체에 유해한 다이옥신 등은 철저히 관리하는 한편 소각 때 생기는 열은 열병합발전시설로 보내져 상계·중계동 지역 일부 아파트의 전기와 지역난방으로 유용하게 쓰인다.
환경교실에 참가한 한재현(11·덕암초교5)군은 “무심코 버리는 쓰레기가 다양한 제품으로,전기로 바뀌는 것이 놀랍다.”며 “앞으로 우리집 재활용은 내가 도맡아 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학생들을 인솔한 덕암초등학교 정미현(42·여) 교사는 “학생들뿐만 아니라 주부들에게도 유용한 학습 프로그램”이라고 평가했다.
구는 프로그램의 참여대상을 주부층까지 확대할 방침이다.여름방학 기간동안 ‘학부모와 함께 하는 환경체험학교’를 여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참가신청 및 문의(02)950-3837.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