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험 전문가들도 “올해 1차 시험 경쟁률이 예년보다 낮고,최종 합격인원도 20명 정도 늘어나 다소 수월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았으나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면서 2차 시험도 “방심은 금물”이라고 충고했다.
●“최근 3년간 기출문제 필독”
오는 10월2일부터 이틀간 실시될 2차 시험이 두 달도 채 남지 않았다.
법원행정처에 따르면,올해 2차 시험 응시자 수는 이번 1차 합격자 388명과 면제자 등을 포함해 700명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된다.2차 시험 경쟁률이 6대 1에 육박한다는 것으로,지난해 2차 시험 경쟁률 5.8대 1보다 결코 낮지 않다는 얘기다.게다가 올해 응시생들의 실력이 한층 높아졌다는 분석까지 곁들여진 상태다.
이 때문에 막바지 정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수험 전문가들은 법무사 시험은 특히 출제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S법학원 김용주 부장은 “시험에 앞서 최근 3년간 출제된 기출문제를 꼼꼼히 살펴라.”고 조언했다.그는 “부동산등기법에서는 특히 기출문제가 종종 출제된다.”면서 “무엇보다 출제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소개했다.또 “사법시험은 대학교수들이 시험 문제를 내지만,법무사 시험은 판사 등 실무진들이 문제를 출제한다.”면서 “이는 법무사 시험이 실무적인 요소를 평가하는 데 주력한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M법학원 김문일 부원장은 “법무사 시험의 기본은 민법”이라면서 “2차 시험에서 형법을 제외한 모든 시험과목이 민법과 연결되기 때문에 민법의 기본기를 탄탄히 해야 합격권에 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수험 전문가들은 2차 시험 경험이 있는 수험생의 경우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실전에 대비하고,2차에 처음 도전하는 수험생들은 문제풀이보다 기본서로 기초를 탄탄히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동점자 많았다”
올해 1차 합격자 현황을 살펴보면 합격선은 86점으로 지난해보다 1점 상승했고,합격인원은 388명으로 지난해보다 70명이 증가했다.
법원행정처측은 “올해 최종합격자(120명)의 3배수인 360명 정도를 합격처리할 계획이었다.”면서 “하지만 동점자가 많아 당초 계획보다 1차 합격자수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합격선이 상승한 데는 복수정답을 인정한 문제가 많았다는 점도 한 몫을 했다.복수정답 문제가 나온 제1과목(헌법 상법),3과목(형법 비송사건절차법),4과목(부동산등기법 공탁법)의 평균 점수가 지난해보다 각각 1.61점,0.96점,0.78점씩 상승했다.
여성 합격률은 다소 떨어졌다.전체 합격자 388명 가운데 여성 합격자는 41명으로 10%를 약간 웃도는 정도다.지난해 17.92%의 합격률보다는 크게 낮아진 셈이다.
●수험가 예상 빗나간 결과
이외에도 올해 법무사 1차 시험에 대한 예측은 여로 모로 빗나갔다.
당초 수험가에서는 사법시험에 영어대체시험이 도입되는 데다,법무사 합격인원도 100명에서 120명으로 늘어나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1차 시험에 수험생들이 대거 몰릴 것으로 예상했다.하지만 접수 결과 오히려 예년보다 지원율이 떨어지는 등 예상 외의 결과가 나타났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