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 서초구 박성중 부구청장이 성균관대 행정대학원 도시행정학 박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한 ‘헤도닉가격법을 이용한 자동차 소음의 외부효과 평가’에 따르면 내부순환도로에 인접한 지역 땅값을 조사한 결과,도로에서 떨어진 다른 지역에 비해 평균 4%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부순환도로 인접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1㎡당 5만 1382원의 사회적 비용을 더 지불하고 있으며,내부순환도로 건설로 평당 16만 9560원의 땅값 하락을 초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대표적 고가도로인 내부순환도로의 경우 자동차 소음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은 2664억원이며 이는 차량 1대가 1㎞를 주행할 때 5.36원의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박 부구청장은 “내부순환도로의 경우 통행료 징수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으며,주변에 건축물을 설치하면 소음을 줄이는 완충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특히 앞으로 서울시내에 고가도로를 추가로 건설하는 문제는 보다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구청장은 논문 작성을 위해 내부순환도로(총연장 38.4㎞) 주변 500m 이내 328개 지점을 선정,소음도와 땅값의 상관관계 등을 조사했다.그는 “감이나 전례에 의존한 행정이 아니라,계량화된 수치를 근거로 합리적인 행정을 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