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단체에서도 찬반 성명이 나오고, 일부 기관은 이미 체결한 협약서의 폐기를 통보하는 등 갈등이 표출됐다.
|
한산한 민원실
한산한 민원실 전국공무원노조가 11일 준법투쟁에 돌입했지만 서울 구로구청 민원실은 한산하기만 하다. 파업찬반 투표로 경찰과 충돌을 빚었던 구로구청은 이날 점심시간에 2교대 근무를 해 민원인들의 불편이 없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
이날 낮 12시20분쯤 서울 종로구 사직동사무소는 평소와 다름없이 민원업무가 처리됐다. 사무소 출입문 앞에는 전공노의 준법투쟁 안내문이 붙어 있었지만 업무는 정상적이었다.
이곳의 한 직원은 “전공노의 지침에도 정상적으로 일한다.”며 “최근 구청에서 점심시간을 오전 11시30분부터 오후 1시30분으로 해줘 교대로 식사를 하며 일한다.”고 설명했다.
30분 뒤인 낮 12시50분. 서울 종로구청 세무민원실은 분위기가 사뭇 달랐다. 점심시간에 직원들이 많이 앉아 있었지만 민원처리를 하지 않았다. 민원인 김명길씨는 “자동차세 관계로 12시10분쯤 왔는데 40분 넘게 기다리고 있다.”면서 “공무원들이 이래도 되느냐.”고 따졌다.
이같은 민원인과 공무원간 갈등은 점심시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됐다. 전공노 노조원이 많은 지역이나 민원사무실에선 민원처리가 되지 않는 곳이 많았다.
자리에 앉아 있는 공무원들도 주변 공무원의 시선을 의식한 듯 민원처리를 해주지 않았다. 일부는 “점심시간을 피해 오시면 더욱 친절히 모시겠다.”는 전공노의 안내문을 보고 기다리기도 했다.
●유관단체 잇단 찬반 성명
이날 열린 당정협의회에서는 전공노의 파업에 대해 엄단한다는 정부방침을 재확인했다. 당정은 협의회를 마친 뒤 “전공노가 단체행동을 중단하고 대화와 타협으로 이 문제를 풀길 바란다.”고 밝혔다.
대구공무원노동조합은 성명에서 “전공노 파업투쟁으로 공직사회가 큰 혼란에 빠져 있다.”며 “정부로부터 정년·신분보장 폐지라는 역공을 받을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말했다. 경기 포천시 통·이장연합회와 새마을지도자협의회 등도 “공무원노조의 불법행위는 15만 시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점심시간에 민원처리를 하지 않으면 납세거부운동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원도 강릉·동해·태백시 등은 전공노 각 지부와 체결한 단체협약의 파기를 선언했다. 강릉시는 전공노에 보낸 공문에서 “지난 6일 춘천결의대회 동참을 주도하고 점심시간 준법투쟁 등 일련의 불법행위와 공직자로서 본연의 임무를 이행하지 않아 협약 파기를 통보한다.”고 밝혔다.
동해·태백시도 “특별교부세 삭감 및 정부시책사업 배제시 시정운영에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며 파기를 선언했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