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종대 건교부 신도시기획단장 서종대 건교부 신도시기획단장 |
시화호 남측 개발계획은 대규모 국책사업을 환경단체 및 지역주민이 함께 추진키로 합의한 첫 사례로 기록됐다. 따라서 향후 국토개발과 관련, 여론을 모으는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 단장은 “환경단체와의 합의 비결은 주민과의 신뢰관계 구축이었다.”면서 “정부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이 깊어 초기에는 무척 힘들었다.”고 그간의 과정을 설명했다.
서 단장을 비롯한 건교부 담당자들은 주민과의 신뢰를 쌓기 위해 1년 동안 공식적으로 45차례나 현지를 방문했다. 비공적인 방문도 많았다고 했다. 무엇보다도 마을 동제(洞祭)에 참여해 동질감을 쌓는 데도 주력했다.
첫 단추는 지난해 초 주민과 10여개 지역 환경단체, 정부 관계자 등이 참여한 ‘시화지역지속가능발전협의회’ 발족에서 끼워졌다. 매달 2차례 열리는 회의에서 1∼2시간은 환경 전문가를 초청, 강연을 듣고 주민과 토론을 했다. 또 협의회 홈페이지를 개설, 의견수렴 창구로 활용했다.
그는 “신뢰와 함께 중요한 것은 현실을 있는 그대로 주민들에게 알리고 같이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면서 “주민들과의 회의에서 환경단체 등의 추천을 받은 전문가들이 문제점을 제기하도록 한 것이 신뢰 회복에 큰 보탬이 됐다.”고 말했다.
시화호 문제를 이렇게 풀면서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라북도로부터 “새만금 사업도 맡아달라.”는 요청도 최근 받았다.
그는 뚝심과 추진력을 장점이자 단점으로 평가받지만 시화호 개발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 산고(産苦) 끝에 합의를 도출해내는 성과를 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 단장은 1983년 행시 25회에 합격, 건교부 국토유지관리사무소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해 총무과장·도시건축심의관 등을 거쳤다. 건교부 내 최연소 국장이다. 지금은 신도시 개발과 기업도시 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