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음식연구소 빌딩은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해 있다. 지하철 종로3가역 6번 출구에서 창덕궁 돈화문으로 가는 길목 왼편에 서 있다. 지하 1층 지상 10층으로 연구소 치고는 상당한 규모다. 연면적 800여평(2417.89㎡)에 높이만 37.7m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는 우리 전통음식의 연구·개발 및 보급, 교육을 통해 전통 음식문화의 발전과 대중화에 기여하기 위해 윤숙자 전 배화여대 식품조리학과 교수가 설립했다. 빌딩 전체는 떡 등 전통음식을 전시, 판매하고 교육하는 공간으로 채워져 있다.
1층에는 요즘 한창 인기를 모으고 있는 떡카페 ‘질시루’가 자리잡고 있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에서 새롭게 개발한 떡 50여종과 각종 한과류를 전통차와 함께 직접 즐길 수 있다. 외관도 여느 고급 카페 못지않은 수준이라 남녀노소와 국적을 가리지 않고 폭넓은 사랑을 받고 있다.
2층부터 4층까지는 각종 전시·박물관이 자리잡고 있다. 윤 소장이 20여년 동안 전통음식을 잘 만든다는 할머니들을 만나러 전국을 다니며 옛날 솥이나 떡살, 다식 틀 같은 전통 조리기구를 모은 것이 어느덧 박물관으로 발전했다.
2층의 부엌살림 박물관은 사라져 가는 전통 부엌살림과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명절마다 먹어왔던 우리 고유의 음식도 볼 수 있다.3층의 떡박물관은 전국의 50여가지의 떡들이 눈길을 끈다. 떡 조리기구와 떡과 어울리는 전통 차, 민속주도 전시한다.4층 전시장에서는 한국전통음식연구소 회원과 학생들의 전시회가 열린다.
5층부터는 교육 시설이 갖춰져 있다. 한국전통음식연구소는 지난 2002년 75명 정원의 4년제 식품조리학과 학사 과정을 개설했다. 교육부 인가까지 받았다.5층과 10층은 식품조리학과와 연구소 산하 평생교육원의 강의실로,6층은 실습실로 쓰인다.7층에는 평생교육원이 있고 8층에는 교수연구실과 도서관이 들어서 있다. 이밖에 9층은 새로운 떡을 개발하는 떡개발연구실과 식품분석실험실이 자리잡고 있다. 오래 보관하면서도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레토르트 떡’을 비롯, 떡 샌드위치와 떡 도시락 등 떡의 세계화를 위한 신제품들은 이곳의 결실이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