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연기군 금남면 석삼리 주민 이정진(55)씨는 “기어이 고향을 떠나게 생겼다.”며 당황해했다. 그는 “지난해에 집도 새로 짓고 인근 마을에 논밭이 조금 있어 대상에 포함되지 않기를 바랐는데…”라면서 허탈해했다.
●“70살 넘은 나이에 고향뜨려니…”
공주시 장기면 당암리 양재수(66)씨는 “70살 넘는 나이에 6대째 살아온 고향을 떠나 타향에서 자리를 잡을 수 있을지, 사양화되는 농사를 계속 지어야 할지 답답하다.”고 말했다.
반면 신행정수도 계획 때보다 50만평을 더 확보한다는 말에 수용이 될까봐 걱정했다가 제외된 마을 주민들은 안도했다. 공주시 장기면 대교리 박수현(51)씨는 “이번에는 수용될 것으로 봤는데 고향을 지킬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면서 “행정도시 주변지역이 얼마나 규제될지 모르지만 농사짓는 주민들은 큰 의미가 없고 늦어도 7년 뒤에는 보상가보다는 행정도시 건설로 오른 땅값이 더 클 것”이라고 활짝 웃었다.
●주민대책위 구성·활동 나설듯
애초부터 행정도시 중심에 있는 주민들은 행정도시 포함 여부보다 이사 준비를 하면서 보상이 얼마나 나올지에 관심을 보여 왔다. 남면사무소 인근에 사는 임모(56)씨는 “지난해 신행정수도가 오는 것으로 믿고 농협에서 빚 3억원을 얻어 인근에 축사가 딸린 집을 샀는데 6개월 만에 이자가 1000만원 넘게 나와 기르던 소를 팔아 갚았다.”며 “보상이 적으면 망하게 생겼다.”고 걱정했다. 남면 송원리 김창제(58)씨도 “정부가 원주민에게 개발이익의 일부를 미리 얹어주는 차원에서 보상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맞장구쳤다. 하지만 남면 양화리 임백수(49)씨는 “떠나지 않겠다.”면서 “행정도시에서는 농사를 짓지 못하니 정부가 터전과 먹고 살 수 있는 방안을 세워줘야 한다.”고 말했다.
행정도시 예정지 주민들은 곧 ‘주민보상대책위원회’를 구성, 행정도시 건설과정에서 있을 수 있는 주민갈등을 조정하고 주민들이 원하는 맞춤형 보상을 받기 위한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공주·연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