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낮은 소득 수준에 주거 환경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그러나 송파구가 이 지역에 뉴타운 사업을 추진하는 등 발전의 급물살을 타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거여동의 면적은 2.36㎢, 인구는 지난 2001년 현재 5만 11명이다.
마천동에는 1.47㎢의 면적에 4만 6800여명이 살고 있다. 송파구의 가장 동쪽에 해당한다. 동쪽과 북쪽은 경기도 하남시, 서쪽은 오금동과 붙어 있다.
거여동은 예전에 거암(巨岩)이라는 사람이 살았다고 해서 거암리라고 불리었다. 이 명칭이 ‘김이’,‘겜리’로 바뀌었다가 거여리(巨餘里)로 자리잡았다.
마천동이라는 이름은 마을 동쪽에 있는 마산에서 비롯됐다. 조선시대 임경업 장군의 말이 이 지역에서 개울물을 마셨다는 연유로 마천동이라 불리었다는 설도 있다.
거여·마천동의 인구 밀도는 송파구 안에서도 높은 편. 송파구가 서울시에서 구 인구 1,2위를 다툰다는 점을 감안하면 과밀도가 상당한 셈이다.
원래 이 지역은 서울시에 편입되기 전에는 남한산 서쪽 산기슭의 한적한 농촌지역이었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것은 지난 60년대 말부터다.
서울 도심의 무허가 판잣집 철거민들이 대거 이주해 왔다.
경기도 성남시와 마찬가지로 농촌 인구의 대규모 서울 유입, 그리고 도시 빈민으로 전락한 이들이 시 외곽으로 다시 밀려나는 한국의 압축성장의 비극이 이곳에도 담겨 있다.
이 지역은 82년 가락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에 포함되면서 개발 붐을 타게 됐다.
이때 도로 개설 등의 재개발사업과 더불어 무허가 건물들이 대거 재건축됐다.
또 80년대 후반 부동산 경기 붐 이후 땅값이 방이동, 오금동 등 인근 지역 못지않게 오르면서 주민들의 소득 수준도 뛰어올랐다.
거여동 개미마을, 마천동 남천초교 인근 지역에도 아파트 단지들이 속속 들어서기 시작했다.
96년에는 지하철 5호선이 개통된 데 이어 최근 마천동 성내천 인근에서 방이동 구간 도로도 착공되는 등 교통 여건까지 좋아지고 있다.
오는 6월 선정될 3차 뉴타운 후보지로 거여·마천 뉴타운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어 이 지역의 추가 개발 기대감도 상당히 높다.
송파구 관계자는 “거여·마천 뉴타운은 강남권의 집값 안정 및 대체 공급지가 될 뿐 아니라 송파구 안의 빈부격차까지 해소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