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강남역 지하상가에 남·북으로 나뉘어 자리잡고 있던 100여평의 분수대 부지 중 5분의 3을 차지하는 공간에는 새로운 매장 20개가 들어서 있었다. 대부분 오픈을 앞두고 인테리어 공사가 한창이다. 나머지 공간에는 양쪽에 각각 4∼8개의 기둥이 남아 있고, 기둥을 따라 설치된 의자에 시민들이 드문드문 앉아 있었다.
●휴게소 기능 분수대 없어진 사연은?
강남역 분수대는 지난 3월14일 강남역 지하상가를 관리하는 서울시설관리공단에 의해 철거됐다(서울인 3월 19일자 보도). 당시 상인들은 철거를 반대하는 플래카드를 상가 곳곳에 붙여놓고 강남역 상가번영회를 중심으로 거세게 항의했다. 분수대가 없어지면 강남역 지하상가의 환경이 더욱 나빠질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서울시설관리공단측의 판단은 달랐다. 분수대가 설치된지 20여년이 지나 관리가 어려워진 데다, 노숙자들이 분수대 주변에 상주해 시민들과 상인들의 안전을 오히려 위협한다는 입장이었다. 결국 공단은 분수대를 철거했고,‘철거 반대’를 외치던 플래카드는 거의 사라졌다.
분수대 철거를 강력하게 반대하던 상인들이 플래카드를 거두고 침묵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들 상인이 서울지방법원에 제기한 ‘공사금지 가처분신청’이 4월 중순 기각됐기 때문이다.
●상인들 고법 판결에 촉각
강남역 지하도상가 번영회 김광년 회장은 “법원에서 가처분신청이 기각된 이후 감사원·서울시·고충처리위원회 등에 민원을 제기했지만 별 소용이 없었다.”면서 “지금은 항의할 수 있는 별다른 방법이 없어서 고등법원의 판결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겉으로는 조용해 보이지만, 분수대 철거를 반대하는 주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분수대 철거로 인해 지하상가의 공기가 더욱 안 좋아졌기 때문에 할 수만 있다면 분수대를 다시 만들기를 원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분수대가 원상 복구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공단은 20개의 매장에 대한 임대를 마치고 계약만 남겨둔 상태인 까닭이다.20개의 새 매장중 15개의 매장은 강남역 지하상가의 매장 주인들 가운데 서울시설관리공단과 계약을 맺지 못한 사람들에게 돌아갔다.
그들은 강남역 지하상가의 민간 사용기간이 지난 2002년 서울시설관리공단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면서 계약을 맺을 당시 인상된 상가 임대료에 반대하며 공단과의 계약을 미루다 결국 기회를 놓친 사람들이다. 나머지 5개의 매장은 공개 경쟁 입찰을 통해 주인을 찾았다.
분수대가 다시 돌아올 확률은 거의 없지만 강남역 지하상가의 환경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공단측은 “침침한 조명을 밝게 바꾸고 기둥도 산뜻하게 꾸밀 예정”이라면서 “공기청정기를 설치했으며, 앞으로도 공기 정화 등 환경 개선을 위한 방법을 최대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