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공공기관 25곳(대구 12곳, 경북 13곳)을 수용할 혁신도시의 공동 건설에 원칙적인 합의를 했지만 대구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이냐는 세부사항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는 시와 가까운 ▲달성∼고령군 사이 ▲경산시 ▲칠곡군 등 3곳 중 1곳을 혁신도시 후보지로 희망하고 있다.
조해녕 대구시장은 “테크노폴리스를 조성 중인 달성군이 가장 원하는 곳이지만 경북도가 경산시 또는 칠곡군을 원할 경우에 동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경북도는 대구시로부터 최소한 30㎞이상 떨어진 곳을 혁신도시 후보지로 희망하고 있다.
경북도의 비공식적인 입장이지만 영천시를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지목하고 있는 듯한 눈치다.
그러나 대구시는 경북도의 ‘30㎞ 이상 떨어진 곳’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문수 대구시 혁신분권담당관은 “대구시 외곽지로부터 30㎞ 이상 떨어진 곳은 대구시내에서 승용차로 30분이상 걸린다.”면서 “대구시민들이 정서적으로 동의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경북도는 조만간 ‘대구경북 혁신도시 공동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 혁신도시의 후보지에 대한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그러나 경북지역의 대부분의 시·군들은 대구시와의 혁신도시 공동 건설을 강력히 반대하고 나서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도로공사 유치를 강력히 희망하고 있는 상주시는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목적이 낙후한 지방의 균형발전에 있는데 이미 개발된 도시나 그 인근에 혁신도시를 만든다는 것은 도시과밀화만 초래할 뿐”이라며 반발했다.
한편 대구시와 경북도는 혁신도시를 공동 건설할 경우, 공공기관 25곳의 임직원과 가족 2만여명을 비롯해 교육·주거·문화·상업 등 기반시설의 인구 등 모두 5만여명 이상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구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