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전 세계에 알리는 선포식이 30일 오후 통영시 중앙동 강구안 문화마당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한스 반 킹켈 유엔대학 총장과 정창영 연세대 총장, 조무제 경상대 총장, 김상희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 박은경 통영RCE추진위원장 등과 주민 3000여명이 참석했다.
지속가능발전은 ‘미래세대를 위한 잠재력을 훼손시키지 않고 현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이라는 새로운 발전개념이다. 지난 2002년 제57차 유엔총회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2005∼2014년)을 시작한다.’는 결의문이 채택되면서 대두됐었다.
유엔산하 연구·교육기관인 유엔대학은 이를 위해 유네스코와 함께 세계 10곳에 지역교육센터(RCE)를 설립, 새로운 발전개념을 주변지역으로 파급시키기 위해 육성하고 있다.
이미 일본 센다이와 오카야마, 스페인 바르셀로나, 말레이시아 페낭, 유럽의 라인-뮤세, 캐나다 토론토, 피지를 비롯한 태평양 섬지역이 선정됐다.
통영시는 지난해 3월부터 RCE 유치를 위해 통영RCE 준비위원회를 조직, 유네스코 국제회의에 참석하고, 일본 센다이RCE를 방문하는 등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최적지임을 홍보, 지난해 10월 유엔대학에서 인증서를 받았다.
통영RCE는 앞으로 유엔대학과 연세대, 경상대, 통영시 등과 각종 사회단체의 참여를 통해 경제발전과 사회평등, 환경보존을 동시에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 교육네트워크를 구성할 계획이다.
통영 이정규기자 je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