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노동부는 상시 근로자 1000명 이상 기업과 정부투자기관, 정부산하기관 등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의무사업장 546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남녀근로자 고용현황(2005년 기준)을 공개했다.
하지만 노동부는 여성고용비율을 공개하면서 실적이 좋은 상위 5곳을 제외한 나머지 기관의 비율 등은 공개하지 않아 너무 소심한 것 아니냐는 비판도 일고 있다. 조사내용에 따르면 전체 근로자 159만 7617명 가운데 여성근로자는 45만 8584명으로 여성 고용비율이 평균 30.7%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수산물유통공사 등 정부투자기관 14곳의 여성고용비율은 평균 16.5%에 불과했다. 또한 한국마사회 등 정부산하기관 92곳의 여성고용비율은 평균 24.6%로 민간기업의 32.5%보다 크게 낮았다.
정부투자기관 가운데는 유일하게 한국관광공사만이 42.3%로 민간기업보다 여성고용비율이 높았다.
직급별로는 민간기업의 임원급 여성비율이 3.48%인데 반해 정부투자기관은 1.02%, 정부산하기관은 2.96%에 그쳤다. 특히 정부투자기관은 철도공사를 제외한 14곳 가운데 13곳이, 정부산하기관 93곳 중 82곳에 여성임원이 단 1명도 없었다. 과장급 이상의 관리직 여성비율도 민간기업이 11.2%인데 반해 정부투자기관은 1.7%, 정부산하기관은 6.8%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노동부는 여성근로자 고용비율 평균의 60%에 미달하는 정부투자기관 9곳과 정부산하기관 68곳에 대해 오는 10월15일까지 고용개선조치 시행계획서를 작성해서 제출토록 명령했다. 또 해당 기관장을 대상으로 다음달중 간담회를 개최, 여성고용을 늘리도록 촉구할 방침이다.
한편 노동부는 여성고용비율을 높이기 위해 수유시설, 여성숙소, 여성휴게실 등 환경개선자금과 건설팅 비용 등을 최소 5000만원에서 최대 5억원까지 지원해주고 있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