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장려정책에 공무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1년인 여성공무원의 육아휴직 기간을 대폭 확대하고,‘3세 미만’ 자녀만 가능하던 것도 ‘취학 전 아동’으로 확대했다. 다만 육아휴직 수당은 1년만 지급된다. 그러나 민간의 육아휴직기간은 여전히 1년으로 공무원과 2년의 격차가 생기는 만큼 형평성 논란도 불거질 전망이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출산장려정책에 공무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현재 1년인 여성공무원의 육아휴직 기간을 대폭 확대하고,‘3세 미만’ 자녀만 가능하던 것도 ‘취학 전 아동’으로 확대했다. 다만 육아휴직 수당은 1년만 지급된다. 그러나 민간의 육아휴직기간은 여전히 1년으로 공무원과 2년의 격차가 생기는 만큼 형평성 논란도 불거질 전망이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