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긴 의견은 공직기간 내내 따라 다닌다. 어떤 정책 추진과정에 어떤 입장을 보였는지 상세히 기록·보전되며, 향후 인사에 활용된다.
내년부터 크게 달라지는 중앙부처 공무원들의 근무 풍속도다. 범 정부 차원에서 표준화된 시스템이 구축돼 일하는 방식이 바뀌기 때문이다.
●현재 행자부등 6개기관 시범실시
행정자치부는 현재 행자부와 기획예산처, 과학기술부, 건설교통부, 해양경찰청, 대통령경호실 등 6개 기관에서 시범 실시하고 있는 ‘온라인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을 내년 1월부터 나머지 48개 행정기관에 확대 시행할 방침이라고 22일 밝혔다.54개 모든 중앙행정기관에서 업무관리시스템을 시행한다는 것이다.48개 중앙행정기관은 12월 말까지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다.
업무관리시스템은 각 부처가 행정업무 처리 전 과정을 과제관리카드와 문서관리카드를 기반으로 온라인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단순히 정책결과물만 남기는 것이 아니라 정책결정 및 추진 전과정을 모두 기록하는 형태다. 모든 부처가 공통적으로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도록 문서·과제·일정·회의관리, 메모보고, 지시사항 등 6가지 기본기능을 갖춘 표준모델이 설치된다.
●담당자 바뀌어도 업무공백 없어
아울러 정부 업무가 3만여개의 과제로 분류·관리되는 ‘정부기능분류시스템’도 같은 시기에 개통돼 각 기관은 분류된 업무에 따라 일을 하게 된다. 담당자가 바뀌어도 모든 과정의 기록이 남아 있기 때문에 업무 공백을 줄일 수 있다는 게 행자부의 설명이다. 국무총리실에서는 내년 4월까지 ‘국정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때부터 대통령·총리 관심과제, 대통령·총리 지시사항, 국무·차관회의, 대통령·총리 재가내용 등을 부처에 하달하고 추진실적을 챙기게 된다. 업무관리시스템 아래 추진된 업무들은 내년 4월부터는 각 부처에서 기록관리시스템으로 넘겨져 정해진 보존기한까지 기록물을 보관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청와대의 e지원시스템과 연계돼 청와대에서 각 부처의 업무 추진상황을 실시간으로 한눈에 볼 수 있다. 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면 업무의 효율성과 책임성이 한결 높아질 전망이다. 하지만, 공무원 개개인의 입장에서는 훨씬 삭막하고 숨막히는 근무 환경이 될 전망이다.
조덕현기자 hyoun@seoul.co.kr
2006-11-23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