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부는 2011년까지 모두 3632억원을 들여 여의도 면적의 150배에 이르는 전국 양식어장 12만 9000ha의 환경을 조사·정비하고, 어장환경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내용의 ‘전국어장 관리 기본계획’을 17일 발표했다.
김춘선 어업자원국장은 “1999년 신(新) 한·일 어업협정 체결 이후 근해어장이 축소되면서 양식어업이 크게 팽창했는데 이후 양식장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어장내 환경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라면서 “특히 양식어장에서 생사료를 쓰는 경우 사료가 가라앉아 바닥에 퇴적되기 때문에 해수오염이 심하다.”고 말했다.
해양부는 투입예산 중 가장 많은 1467억원을 들여 친환경 배합사료를 개발하고, 이 배합사료를 쓰는 어가에 지원을 늘릴 계획이다. 현재 배합사료를 쓰는 양식어가는 전체 20%에 불과하다. 해양부는 이 비율을 2008년까지 40%,2010년 50%,2015년에는 80%까지 늘려나갈 방침이다. 해양부는 또 62억원을 투입해 내년부터 남해안, 서해안, 동해안, 제주 순으로 연안 양식어장 실태조사를 벌여 지역별 양식어장환경 개선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어장환경기본도를 제작 보급하는 한편 지자체장이 지정한 어장관리해역을 정화하는 데 868억원을 투입할 방침이다.
이밖에 오염이 심한 해역을 어장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한 뒤 246억원을 들여 어장면적 조정, 어장휴식, 신규어업 면허금지 등의 조치를 취하고 정화할 계획이다. 폐어구 보관시설 건립 등 어장환경관리 시스템 구축에도 345억원을 투자한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
2007-1-18 0:0: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