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민과 충남도 등이 환경부의 대안에 대해 거부의사를 분명히 한 가운데 나소열 서천군수가 “대안에 신뢰성이 확보된다면 검토할 수도 있다.”고 미묘한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이다.
27일 서천군에 따르면 최근 나 군수는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에서 결정한 사업을 무조건 거부할 게 아니라 정책적으로 검토하고 결정해야 할 것이 아니냐.”고 밝혔다.
하지만 ‘장항산단 착공촉구 대정부투쟁 서천군민 비상대책위원회’는 “‘선착공’ 이외의 대안은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김경제 위원장은 “우리는 애초부터 대안사업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면서 “군이 어떤 입장을 보이더라도 우리는 ‘선 착공’ 방침을 계속 밀어붙이겠다.”고 말했다.
이완구 충남지사도 “환경부의 대안은 타당성 검토와 예산편성 등을 위해 몇년이 걸릴지 모른다.”며 “선착공 외의 다른 대안은 절대 수용불가”라고 강조했다.
충남도의회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정부 정책의 일관성과 형평성을 위해 당초 계획대로 즉각 착공해야 한다.”면서 “착공이 전제되지 않을 경우는 정부의 어떠한 대안제시와 협의에도 응할 수 없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대해 서천군 관계자는 “대안사업이 실효성을 갖고 있고 예산확보 계획이 구체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한번 검토해볼 수 있다는 것이지 환경부가 내놓은 대안을 전적으로 수용한다는 것은 아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치범 환경부장관은 지난 22일 나 군수, 도의원, 주민대표 등과 간담회를 갖고 산단조성 대신 국립생태원, 해양생태자연관 등으로 꾸며지는 1조 5000억원 규모의 ‘어메니티 서천 2020 프로젝트’를 제안했었다.
서천 이천열기자 sk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