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본 구청 공무원들은 “빼곡한 방문일정을 빠짐없이 실행한 것을 보면 ‘지방의원들이 외국에 놀러다닌다.’는 말은 옛말”이라고 입을 모았다.
●치밀한 준비와 강행군
23일 도봉구의회에 따르면 권은찬 부의장 등 의원 7명은 지난 1월 30일 8박9일 일정으로 일본으로 출발하기에 앞서 준비를 단단히 했다. 연수에는 권 부의장을 비롯해 김용석, 김원철, 이금주, 이성희, 이경숙, 조숙자 의원이 동참했다.
의원들은 도봉구가 벤치마킹할 일본의 생태식물원, 쓰레기처리장, 재래시장, 복지센터, 마을문고, 제설시설 등에 대해 방대한 자료를 수집했다. 수차례 토론회를 열고 출발 4일전에는 행정자치부 소속 전문강사를 초빙해 실전 세미나도 가졌다.
지바시 이나게 해변공원과 꽃 미술관, 마쿠하리 해변공원, 동물공원, 이즈미 자연공원 등을 발이 아프게 돌아봤다. 인공해변 공원인 이나게 공원에서는 주변의 숲을 주민 모금으로 조성한 것에 관심이 끌렸다. 예상보다 두배넘게 조성된 숲은 모금 참여자들의 이름을 비석에 새겨주기 때문인 듯했다.
미술관 주변을 500여 종류의 꽃이 감싸고 있는 꽃 미술관에서는 주민들의 소모임이 열리고 있었다. 동물 700마리를 사육하는 동물공원 관계자는 “적자가 나도 주민들이 좋아하니 문제없다.”고 말해 의원들의 부러움을 샀다.
●푸른 도봉을 위해 배울점
세다가야에서는 주민 스스로 마을을 가꿔 도로에 아이들의 그림을 새긴 타일을 깔아놓은 것이 인상적이었다. 하나미가와에서는 개인집 안에 마을의 공동 문고를 보유하고 있었다.‘가정문고’는 주민자치의 이상인 것처럼 여겨졌다.
일행은 한 일본인 주부가 “정부가 도와주면 그게 무슨 지원봉사인가.”라고 되물어왔을 때에는 할 말이 없었다고 털어놓았다.
의원들은 귀국한 뒤 대규모 생태식물원 조성, 생활쓰레기 처리시설, 어린이전용도서관 건립 등 각종 현안사업을 처리할 때 일본에서 배운 것을 적용해 시행착오가 생기지 않도록 할 작정이다.
‘금연조례’를 도입하는 문제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일본이 제설제로 염화칼슘, 모래 대신에 염화나트륨, 돌가루를 사용함으로써 환경을 먼저 생각하는 점에 대해서도 느낀 점이 많았다는 점도 견문록에서 빠뜨리지 않았다.
한 국장급 공무원은 “연수에서 돌아온 의원들의 의정활동이 진지하게 보인다.”고 평가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그래픽 김선영기자 ksy@seoul.co.kr
■ “길거리 금연조례 검토”
“일본의 지방의회 분위기가 우리나라와 비슷하다고 여겨 방문지로 결정했습니다.”
도봉구의회 일본연수단의 단장을 맡았던 권은찬(50·방학1·2동) 부의장은 23일 “지바, 하코네, 요코하마 등 방문지역도 도봉구가 벤치마킹을 할 부분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권 부의장은 “걸으면서 담배를 피우지 못하게하는 금연조례가 있지를 않나, 길거리는 항상 비질이 돼 있고, 집 안에다 마을문고를 여는 등 곳곳에 놀랄 일이 많았다.”고 전했다. 또 “구정이나 자원봉사엔 주민이 먼저 나서고 모든 행사가 주민중심으로 진행되는 모습을 보고 솔직히 부러웠다.”면서 “우리도 잘해보자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4-24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