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이족처럼 걸어요
서초구에 걷기 열풍이 거세다. 바람을 잡은 것은 구 보건소. 지난 2004년 8월부터 29일 현재까지 구가 마련한 걷기교실에 참가한 인원은 2000여명이 넘는다.
보건소 김명미 팀장은 “걷기가 근육과 심폐기능 강화는 물론 관절염과 요통, 고혈압 등 각종 성인질환에도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것은 학계의 정설”이라고 말했다.
걷기교실에서 강의하는 총 12주 코스는 ▲바른 걷기법 교육 ▲체지방 체력검사 ▲개인별 맞춤형 걷기 강의 ▲스트레칭 등으로 이뤄진다.
개인별 맞춤형 걷기 강의는 첫 강의 전 미리 신청자의 걷는 습관을 동영상으로 찍어 두는 것으로 시작한다. 잘못된 걸음걸이의 패턴을 분석해 고치기 위해서인데 12주 코스를 마친 후 다시 동영상을 찍으면 나쁜 습관은 대부분 사라진다고 한다.
걷기강사 최석규(27)씨는 “유행하는 걷기 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중요한 원칙은 관절에 무리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제대로 걷는 법을 익히면 오래 걸어도 피곤하지 않은 것은 물론 각종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걸음마부터 다시 배운다
걸음마를 뗀 후 수십년간 매일 걷기를 반복해온 어른들에게 걷기 강의가 무슨 의미일까 싶겠지만 의외로 ‘제대로 걷는 이´가 드물다.
전문가들은 안 좋은 걸음걸이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꾸부정하게 하고 걷기 ?고개를 떨구고 걷기 ?터벅터벅 걷기 ?무릎을 들어올려 걷기 ?뒷짐 진 채 팔(八)자를 그리며 걷기 등을 꼽는다. 성인과 아이를 막론하고 3명중 2명은 이중 한 가지 이상의 나쁜 버릇이 있다고 한다.
그럼 어떻게 걸어야 할까. 유행하는 걷기법 중 대표적인 것이 ‘마사이족처럼 걷기’다.
아프리카 케냐에 사는 마사이족의 건강법으로 유명해진 이 방법은 ?어께와 가슴을 펴고 걷는다 ?턱을 당기고 시선은 전방 10~15m를 주시한다 ?보폭은 자신의 키에 0.45를 곱한 값이다 ?발뒤꿈치 바깥 쪽부터 닿기 시작해 무게중심이 발 바깥쪽을 거쳐 새끼발가락과 엄지발가락 순으로 이동한다 ?마치 발목을 빙그르 돌리듯 무게중심을 이동시킨다 등이 핵심이다.
최 강사는 “처음엔 생각처럼 쉽지 않다.”면서 “익숙해지기만 하면 일반 걸음걸이보다 피로감도 적고 건강에도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며칠 걷는다고 살 빠지지는 않는다”
웰빙 바람에 최근 반응도 좋다.
2년째 걷기교실에 참가 중이라는 이민호(67·잠원동)씨는 “나이 탓인지 무릎부터 어깨까지 쑤시고 아팠는데 걷기를 한 뒤 놀라울 정도로 호전됐다.”면서 “나이든 참가자들 중에는 나처럼 몸이 가벼워졌다는 사람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경영(67·여·양재2동)씨도 “그간 혼자 걷기를 해왔는데 무작정 걷는 것과 운동량이나 효과 면에서 몇 배는 차이가 있다.”면서 “출산을 겪은 중장년 주부의 고질병인 골반과 허리 통증이 싹 가셔 스스로도 놀라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부작용(?)도 생겼다. 뱃살 빠지는 급성 다이어트 코스란 소문이 나면서 신청문의가 급증하는 것이다.
서초구 보건소 관계자는 “며칠 걷는 것만으로 살이 빠진다는 것은 지나치게 과장된 이야기”라고 말했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7-5-30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